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 한국 고대 현악기 연구 -상고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까지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본론
A. 가야금의 전신인 <鼓>
B. 가야금
C. <琴>과 유사한 거문고의 전신
D. 거문고(玄琴)
Ⅲ. 결론
참고 문헌
2. 고려시대 가야금 연구
Ⅰ. 서론
Ⅱ. 고려시대 가야금
A. 제1기 가야금 [초기(태조~헌종)]: 국가제도 정비기
B. 제2기 가야금 [중기(덕종~예종)] : 문화 전성기
C. 제3기 가야금 [후기(의종~공민왕)]: 무신집권기 및 몽고간섭기
D. 제4기 가야금 [말기(공민왕~공양왕)]: 원으로부터 자주성 회복 노력기
Ⅲ. 결론
참고 문헌
부록 - 영인본
3. 조선시대 가야금 연구
Ⅰ. 서론
Ⅱ. 조선 초기 가야금[태조(1392)~성종(1494)]
A. 조선왕조실록
B. 문집
Ⅲ. 조선 중기 가야금[연산군(1494)~경종(1724)]
A. 조선왕조실록
B. 문집
C. 그림 자료
D.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가야금과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거문고
Ⅳ. 조선 후기 가야금[영조(1724)~1910년]
A. 조선왕조실록
B. 문헌
C. 그림 자료
D. 가야금 악보
E. 가야금 산조출현
Ⅴ. 결론
초록
참고 문헌
4. 1910년부터 현재(2017)까지의 가야금 연구
Ⅰ. 서론
Ⅱ. 1910년부터 1945년까지 가야금
A. 풍류가야금 악보
B. 가야금산조 명인
C. 가야금병창 명인
Ⅲ. 해방공간(1945~1948)부터 현재의 가야금
A. 풍류 및 산조 가야금 악보
B. 가야금산조 명인
C. 가야금병창 명인
Ⅳ. 결론
참고 문헌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