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영문학 연구자이자 용인대학교 전임교수인 저자 민경숙이 24년간 도리스 레싱을 연구한 결과를 엮은 책이다. 레싱의 의도를 좇아 레싱이 그리는 이상적인 삶의 태도, 작가의 소명, 세계관에 초점을 맞추어 레싱의 작품을 읽으려 한다.
목차
감사의 글
약어표
1장 서론 : 60년간의 비평적 수용을 통해 본 레싱의 노벨상 수상의 의미
1. 들어가면서
2. 1969년까지의 비평적 수용 : 모더니즘의 권위와 그에 대한 반발
3. 1970년대의 비평적 수용 : 진화하는 비평과 여과되는 독자
4. 1980년대의 비평적 수용 : 레싱의 반격과 비평계의 수모
5. 1990년대의 비평적 수용 : 오독의 책임에 관한 공방
6. 오늘날의 비평적 수용 : 레싱 연구의 부활 가능성
7. 나가면서 : 이 시대의 위대한 무당에 대한 마지막 예우
1부 벽 속 공간으로 상상력을 확장하다
2장 『어느 생존자 의 비망록』: 차이, 변화, 해방의 모색
1. 들어가면서
2. 차이의 공간으로서의 판타지
3. 변화의 공간으로서의 과학소설
4. 판타지의 또 하나의 역할 : 해방의 공간 만들기
5. 나가면서
2부 우주인의 시각으로 지구를 바라보다
3장 『시카스타 : 식민화된 제5행성에 관하여』 : 레싱의 ‘실낙원’과 ‘복낙원’
1. 들어가기
2. 과학적 우주관을 통한 인류 탄생 및 타락 신화의 탈신화 작업
3. 대안 역사 형식을 통한 오늘날의 병폐현상 진단
4. 유토피아 소설 형식을 통한 복낙원
5. 나가기
4장 『제3, 4, 5지대 간의 결혼』 : 레싱이 제안하는 여성적 비전
1. 들어가기
2. 경계 짓기 : 여성성 대 남성성
3. 경계 허물기 : 성의 변증법
4. 레싱의 여성적 비전
5장 『시리우스 제국의 실험』에 나타난 진화에 관한 시각
1. 들어가기
2. 세 제국의 사회생물학 실험
3. 시리우스 제국의 영적 진화
4. 나가기
6장 『제8행성의 대표 만들기』 : 현대 과학을 이용한 ‘죽음’과 ‘멸종’에 관한 해석
1. 서론
2. 현대 생물학 : 의식이나 정보 유전의 과학적 근거
3. 현대 물리학 : 육화 혹은 환생의 과학적 근거
4. 결론
7장 과학소설 5부작 『아르고스의 카노푸스 제국』 : 도리스 레싱의 문학적 도약
1. 들어가기
2. 개인을 넘어서다
3. 타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다
4. 의식을 확장하다
5. 나가면서
3부 사회의 약자에게 눈을 돌리다
8장 『어느 좋은 이웃의 일기』 : 현대 사회의 소수자 그룹, 초고령 여성
1. 들어가기
2. 노인 여성과 초고령 여성
3. 초고령 여성과 가정
4. 여성 노인, 사회, 그리고 사회복지
5. 나가기
9장 도리스 레싱의 ‘그로테스크’ : 『다섯째 아이』와 『세상 속의 벤』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다섯째 아이』 : 억압된 ‘내부의 타자’의 이미지로서의 그로테스크
3. 『세상 속의 벤』 : 배척당하는 ‘외부의 타자’의 이미지로서의 그로테스크
4. 나가기
4부 먼 미래와 먼 과거에서 오늘을 조명하다
10장 『마라와 댄』과 『댄 장군, 마라의 딸, 그리오, 그리고 스노우 독 이야기』 : 포스트콜로니얼 사변소설과 ‘유목적 주체’의 형상화
1. 들어가기
2. 『마라와 댄』 : ‘유목적 주체’로서의 공간 이동
3. 『댄 장군, 마라의 딸, 그리오, 그리고 스노우 독 이야기』 : 과거 역사의 보존 및 기술에 관한 시각의 진화
4. 나가기
11장 『클레프트』 : 신화와 역사 사이의 흐린 경계지대
1. 들어가기
2. 주체에서 타자로의 전환 : 주체성의 상실인가 혹은 양도인가?
3. 그녀의 신화에서 그의 역사로의 전환
4. 나가기
12장 결론 : 반영에서 회절로 비상하다
출처
도리스 레싱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