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민족)문학’ 개념의 남북 분단사
1. 서론: 왜 ‘(민족)문학’ 개념의 남북 분단사인가
2. ‘(민족)문학’ 개념의 근대적 정착과 해방기 남북 분단
3. 분단체제하 ‘(민족)문학’ 개념의 분단과 교류
4. 결론: 신냉전기 남북한 문학 개념의 소통을 위하여
제2장 ‘민족문학’ 개념의 남북한 상호 영향 관계 연구 - 『동아일보』와 『로동신문』의 1987~1989년 용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키워드 검색과 빈도 분석
3. 1987~1989년의 ‘민족문학’ 개념의 분석
4. 1987~1989년의 민족문학 개념의 의미장
제3장 ‘민족적 음악극’ 개념사 연구 -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1. 머리말
2. ‘민족적 음악극’ 개념의 현황
3. 남북한 ‘민족적 음악극’ 개념의 비교
4. 용례로 본 ‘민족적 음악극’
5. 맺음말
부록 1: 용례별 구분으로 본 남북한 '민족적 음악극'의 연도별 빈도
부록 2: 남북한의 '민족적 음악극' 용례(1945~1971)
제4장 미술에서의 ‘민족’ 개념의 분단사
1. 민족 개념과 민족미술 형식의 문제
2. 미술에서의 민족 개념과 국가주의
3. 세계화 시대 미술에서의 민족 개념과 형식의 변화
4. 결론
부록·1차 자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