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추천의 글
박위근 목사[대한예수교장로회 전 총회장]
소기천 교수[장로회 신학대학교 신약학]
머리말

서론

제1부 한국인의 종교토양
1. 한국인의 기층종교인 무교
1) 무교의 정의와 구조
(1) 무교의 정의와 구조
(2) 한국무교의 원형
2) 한국무교의 역사
3) 한국무교의 신관과 내세관
(1) 한국무교의 신관
(2) 한국무교의 내세관
2. 한국역사 속의 불교
1) 불교의 기본교리와 핵심사상
(1)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
① 인생은 괴롭다(고제, 苦諦)
② 고통의 원인(집제, 集諦)
③ 고통이 끝난 상태(멸제, 滅諦)
④ 대자유로 가는 길(도제, 道諦)
(2) 무아론(無我論)과 연기론(緣起論)
① 무아론(無我論)
② 연기론(緣起論)
(3) 삼법인(三法印)
2) 한국불교의 전래와 영향
(1) 전래와 토착화(土着化)된 불교
(2) 무불습합(巫佛習合)과 삼신신앙(三神信仰)
3. 한국인의 윤리를 결정한 유교
1) 유학(儒學)과 인간주의적 이상
2) 유학의 형성
(1) 선진유학(先秦儒學)
(2) 신유학(新儒學)
3) 한국유학의 본질
(1) 한국유학의 전래
(2) 한국유학자의 사상
①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이기론(理氣論)
②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의 이기론(理氣論)
③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1548-1631)의 예학(禮學)

제2부 기독교 수용의 역사적 과정과 교회의 탄생
1. 조선 유학과 서학의 만남
1) 한역 서학서를 통한 서학의 유입
(1) 허균(許筠)과 서학의 만남
(2) 이수광(李?光)과 《천주실의》(天主實義)
(3) 소현세자와 아담 샬(Johann Adam Schall von Bell, 湯若望)
2) 이벽과 이승훈, 한국천주교회의 탄생
2. 기독교와의 접촉과 교회의 탄생
1) 선교사 입국 전의 접촉
(1) 조선에 입국한 서양인들
(2) 칼 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ust Gutzlaff, 1803-1851)
(3) 토머스(Robert Jermain Thomas, 1840-1866)
2) 그 후의 선교사들과 교회의 탄생
3. 개화파와의 접촉과 기독교 수용
1) 개화파 사상의 연원
2) 개화파 사상의 조류
3) 개화파의 종교적 입장과 기독교 수용
(1) 불교적 입장
① 김옥균(1851-1894)
② 서광범(1859-1897)
(2) 유교적 입장
① 유길준(兪吉濬, 1856-1914)
② 박영효(1861-1939)
(3) 기독교 개종 입장
① 서재필(1864-1951)
② 윤치호(1865-1945)

제3부 일반은총적 전통사상이 기독교 수용에 미친 영향
1. 무교가 기독교 수용에 미친 영향
1) 천신과 기독교의 하나님
2) 천신강림신앙과 성육신
3) 삼신신앙(三神信仰)과 삼위일체론
2. 유교가 기독교 수용에 미친 영향
1) 유교의 天, 上帝와 기독교의 하나님
2) 유교의 仁과 기독교의 愛
3) 유교의 추서(推恕)와 기독교의 황금률
4) 유교의 선비정신과 한국교회의 정체성
5) 이기지묘(理氣之妙)와 삼위일체

제4부 전통종교와의 습합으로 인한 문제점
1. 무교와 기독교의 습합으로 인한 문제점
1) 현세지향적 기복주의
2) 열광주의
3) 배타적 가족주의
4) 신비주의
2. 유교와 기독교의 습합으로 인한 문제점
1) 가족중심의 집단주의
2) 가부장적 권위주의
3) 의례(儀禮)의 혼합주의

결론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종교의 미래  : 예수의 시대에서 미래의 종교를 보다 종교의 미래 : 예수의 시대에서 미래의 종교를 보다 2010 / 하비 콕스 지음 ; 김창락 옮김 / 문예출판사
종교의 미래  : 예수의 시대에서 미래의 종교를 보다 종교의 미래 : 예수의 시대에서 미래의 종교를 보다 2010 / 하비 콕스 지음 ; 김창락 옮김 / 문예출판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 아시아 선교의 개척자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 아시아 선교의 개척자 2010 / 김상근 지음 / 홍성사
역사에서 사라진 그녀들  : 젠더로 읽는 기독교 2000년  : 고대에서 현대까지 처음 읽는 기독교 여성사 역사에서 사라진 그녀들 : 젠더로 읽는 기독교 2000년 : 고대에서 현대까지 처음 읽는 기독교 여성사 2019 / 지음: 하희정 / 선율
도미니언 : 기독교는 어떻게 서양의 세계관을 지배하게 되었는가 도미니언 : 기독교는 어떻게 서양의 세계관을 지배하게 되었는가 2020 / 지음: 톰 홀랜드 ; 옮김: 이종인 / 책과함께
한국기독교 흑역사  : 열두 가지 주제로 보는 한국개신교 스캔들 한국기독교 흑역사 : 열두 가지 주제로 보는 한국개신교 스캔들 2016 / 지은이: 강성호 / 짓다
(해방후)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사  : 민주화와 인권운동을 중심으로 1960-1987 (해방후)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사 : 민주화와 인권운동을 중심으로 1960-1987 2009 / 김명배 지음 / 북코리아
전통사상과 기독교 수용 전통사상과 기독교 수용 2018 / 지음: 김호민 / 쿰란출판사
대한민국 건국과 기독교 대한민국 건국과 기독교 2014 / [외엮음]: 박명수, 안교성, 김권정 / 북코리아(선학사)
(맞섬과 초월의 눈으로 본) 한국기독교역사 (맞섬과 초월의 눈으로 본) 한국기독교역사 2017 / 지은이: 박정신 / 말
천하무적 아르뱅주의  : 한국 교회가 발행하는 면죄부 천하무적 아르뱅주의 : 한국 교회가 발행하는 면죄부 2014 / 신광은 지음 / 포이에마
천하무적 아르뱅주의  : 한국 교회가 발행하는 면죄부 천하무적 아르뱅주의 : 한국 교회가 발행하는 면죄부 2014 / 신광은 지음 / 포이에마
한국 기독교 형성사 : 한국 종교와 개신교의 만남 1876-1910 한국 기독교 형성사 : 한국 종교와 개신교의 만남 1876-1910 2020 / 지음: 옥성득 / 새물결플러스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 그리스도교, 한국적이기 위하여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 그리스도교, 한국적이기 위하여 2009 / 이찬수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 그리스도교, 한국적이기 위하여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 그리스도교, 한국적이기 위하여 2009 / 이찬수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정말 제가 사랑스럽나요?  : [이북 E-book] 정말 제가 사랑스럽나요? : [이북 E-book] 2020 / 최세미 글·그림 / 42미디어콘텐츠
저항과 복종 : 옥중서간 저항과 복종 : 옥중서간 2010 / 디트리히 본회퍼 지음 ; 손규태, 정지련 옮김 / 대한기독교서회
(공병호가 만난)하나님 (공병호가 만난)하나님 2014 / 공병호 지음 / 21세기북스
그 무엇도 우리를 그 무엇도 우리를 2009 / 김흥규 지음 / 쿰란출판사
지성에서 영성으로 지성에서 영성으로 2013 / 이어령 지음 ; 키타미 타카시 그림 / 열림원
잊히지 않는 것과 잊을 수 없는 것 : 이만열 산문집 잊히지 않는 것과 잊을 수 없는 것 : 이만열 산문집 2015 / 이만열 지음 / 포이에마
주라 그리하면 채우리라 : 핑퐁 선교사 양영자, 그녀의 삶과 신앙 주라 그리하면 채우리라 : 핑퐁 선교사 양영자, 그녀의 삶과 신앙 2019 / 전광 지음 / 생명의 말씀사
(하나님의 특별한 선물)페이버 = Favor : 참희생은 승리의 지름길이다 (하나님의 특별한 선물)페이버 = Favor : 참희생은 승리의 지름길이다 2017 / 지음: 하형록 / 청림
매듭짓기 : 세파에 꺾이지 않는 진리의 매듭을 지닌 크리스천 매듭짓기 : 세파에 꺾이지 않는 진리의 매듭을 지닌 크리스천 2014 / 이재철 지음 / 홍성사
왜 우리에게 기독교가 필요한가 : 100년의 지혜, 老 철학자가 말하는 기독교 왜 우리에게 기독교가 필요한가 : 100년의 지혜, 老 철학자가 말하는 기독교 2018 / 지음: 김형석 / 두란노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2010 / 김우현 지음 / 규장
(따봉, 프란치스코!)교황의 10가지 (따봉, 프란치스코!)교황의 10가지 2014 / 차동엽 글 / 위즈앤비즈
톨레랑스가 필요한 기독교 톨레랑스가 필요한 기독교 2009 / 이우근 지음 / 포이에마
성경이 만든 사람 성경이 만든 사람 2005 / 전광 지음 / 생명의말씀사
행복 바이러스 행복 바이러스 2006 / 김고창 / 한장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