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감성의 인간학 총서 시리즈 4권. ‘감정’은 인간의 심리적 행복과 삶의 질, 성격과 동기, 그리고 욕망과 행위 촉발력 등의 문제와 관련하여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서는 감정이 가지고 있는 인식론적 위상에 대하여 탐구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주자 기질변화설의 성품윤리적 의미(이승환)
1. 문제제기: 주자의 기질지성에 관한 이론은 결정론인가?
2. 기품의 영향으로 인한 재능⋅인지능력⋅기질의 차이
3. ‘기질’은 변화될 수 있는가?
4. 왜 우리는 자신의 성품에 대해 책임이 있는가?
5. 기질변화는 어떻게 가능한가?
6. 주자 기질변화설의 성품윤리적 함의와 철학치료적 의의
감정의 병리학(고현범)
1. 들어가는 말: 칸트 철학은 감정을 배제하는가?
2. 신체적 감정
3. 정동과 정념의 구별
4. 감정의 스펙트럼과 지향성
5. 맺음말
데카르트, 인지주의 감정이론의 기원과 한계(김원철)
1. 들어가는 말
2. 『영혼의 정념들 Les passions de l’ me』집필 배경
3. ‘정념’이란 무엇인가?
4. 여섯 가지 모(母)정념들
5. 양가성의 논리와 데카르트 감정이론의 딜레마
6. 나가는 말
이성과 감정의 이원론을 넘어: 현대 감정론을 통해서 본 헤겔 감정론(소병일)
1. 들어가며
2. 현대 감정론의 논쟁 구도
3. 현대 감정이론의 구도에서 본 헤겔의 감정 개념
4. 나오며
감정은 능동적일 수 있는가(손병석)
1. 들어가는 말
2. 감정의 인식론적 의미
3. 감정과 쾌락 또는 고통의 상관관계
4. 판단과 덕행위에서 감정의 능동성
5. 맺으면서
감정에 관한 지각이론은 양가감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양선이)
1. 문제제기: 양가감정(Ambivalent Emotion)의 문제
2. 감정에 관한 인지주의 지각이론과 양가감정의 문제
3. 프린츠의 비인지주의 지각이론과 양가감정의 문제
4. 결론: 프린츠의 ‘유인가 표지’는 양가감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유표성 이론을 통한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재해석(이찬)
1. 서론: 감정이란 무엇인가?
2.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그리고 유표성이론(Markedness theory)
3. 주자철학의 감정론과 유표성
4. 결론
‘감정 반항’에 관한 유식학적 접근(홍성민)
1. 서론
2. 감정 반항: 현대 감정이론의 주요 쟁점
3. 유식학에서 본 감정의 구조
4. 감정의 내재적 근거: 阿賴耶識 種子
5. 아뢰야식이 현상하는 세계
6. 감정 반항에 관한 유식학적 이해
7.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