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비진강(費振剛)
제1장 교감학과 고적의 교감
제1절 교감학의 연구 대상
제2절 교감과 교정의 차이
제3절 교감과 교수의 구별
제4절 교감과 교감학의 관계
제2장 교감의 역사적 발전과 교감학의 형성ㆍ성립
제1절 교감학의 발전과 성립
제2절 선진 시대의 교감
제3절 서한 시대의 교감
제4절 동한 말기의 교감
제5절 위진 시대의 교감
제6절 남북조 시대의 교감
제7절 당대의 교감
제8절 송대의 교감
제9절 원명 시대의 교감
제10절 청대:교감학의 형성
제11절 근대:교감학의 성립
제3장 고적의 기본 구성과 교감의 근본 원칙
제1절 고적의 기본 구성
제2절 경전의 복잡한 중첩 구성
제3절 일반 고적의 간단한 중첩 구성
제4절 교감의 기본 임무:존진복원存眞復原
제5절 기본 구성을 무시하는 데서 생기는 편향
제6절 고적 구성의 층차에 대한 분석
제4장 교감의 일반적 방법과 고증의 과학적 근거
제1절 교감의 일반적 방법
제2절 진원의 네 가지 교감 방법
제3절 교감 작업에서 고증의 과학적 근거
제4절 교감 작업에서 고증의 이론적 근거
제5절 교감 작업에서 고증의 자료적 근거
제5장 오류 발생 원인의 분석과 교감 통례의 귀납
제1절 오류 발생 원인의 분석과 각종 통례의 귀납
제2절 의오와 이문
제3절 오자 통례
제4절 탈문 통례
제5절 연문 통례
제6절 도문 통례
제7절 착간 통례
제6장 교감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
제1절 구체적인 교감 이전의 준비 작업
제2절 기본 구성과 전래 상황의 파악
제3절 기본적인 내용과 구성 및 체례의 이해
제4절 기본 문체와 언어 특징의 이해
제5절 타서 자료 수집과 전인의 성과 흡수
제6절 이본 대교와 이문 열거 및 의오 발견
제7절 이문 분석과 의오 해결 및 정오 판정
제7장 출교의 원칙과 교감기의 요건
제1절 교감 성과의 표현
제2절 출교의 원칙
제3절 교감기의 요건
제4절 개자의 처리
제5절 서례의 작성
제8장 집일ㆍ변위와 교감
제1절 집일ㆍ변위와 교감의 관계
제2절 집일과 교감
제3절 변위와 교감
후기
인명 해설
서명 해설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