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적 가벼운 분량이지만, 민주주의.국가와 폭력.평화.지속 가능한 문명.미국의 패권주의 등 비중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지금껏 당연하게 여겨왔던 경제 발전 이데올로기에 이의를 제기하는 책이다.
목차
머리말 21세기의 상식을 위해서 그런데 어째서 이 제목이? 이 책은 어떠한 독자를 상징하고 있는가
제1장 타이타닉 현실주의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온 경고 아무도 엔진을 멈추려고 하지 않는다 현실주의를 위하여
제2장 '비상식적'인 헌법 교전권을 방기해도 자위권은 남는가 교전권은 군대의 ‘인권’ 국가는 ‘정당한 폭력’을 행사한다 폭력이 폭력이 되지 않는 마법 국가에 폭력행사 권리를 부여한 결과 국가는 국민을 지켜온 게 아니다 제9조는 현실적인 제안이었다 제9조가 만든 ‘평화상식’ 전쟁은 반드시 되돌아온다 개인의 정당방위로 군사행동은 불가능하다 후방지원은 전쟁이다 교전권은 부활하였다 ‘신(新)9조’에 따를 것인가, 따르지 않을 것인가
제3장 자연이 남아있다면 더 발전할 수 있는가? 발전 이데올로기가 태어난 순간 ‘발전’은 고쳐 만들어진 말 ‘미개발’은 ‘야만인’의 다른 말 그리고 착취는 보이지 않게 되었다 역사에서 사라진 ‘강제노동’ ‘발전’이라는 말의 불가사의한 힘 슬럼은 근대건축이다 “모두가 언젠가 발전한다”라고 하는 약속 모두가 부자가 될 수는 없다 빈곤은 재생산된다 경제발전으로 빈곤은 해소되지 않는다
제4장 제로성장을 환영한다 “파이가 커지면 조각도 커진다”고 하는 거짓 풍요의 질을 바꾸다 ‘대항발전’이란 무엇인가 ‘대항발전’은 진짜 행복을 추구한다 일과 소비, 두가지 중독 무엇이 진보인가 “자전거보다 차가 새롭다”는 환상 24시간 일해야만 하나 우리는 전환기 바로 앞에 서있다
제5장 무력감을 느끼면 민주주의는 아니다 가장 민주주의적인 선거는 제비뽑기 언제 선거제가 민주주의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는가 군대가 있는 한 민주주의국가라고 불러서는 안된다 여가가 없으면 민주주의는 성립되지 않는다 누구도 이처럼 노동하지 않았다 경제를 민주화해야 우리는 힘이 있다 살아남기로서의 활동
제6장 현실은 바뀐다 늦지 않을까 ‘상식’은 반드시 바뀐다 방사능이 있는 유토피아
후기
부록 아메리카의 '자유'와 확장주의 영어회화의 이데올로기
역자 후기
서가브라우징
그렇게 붕괴가 시작되었다 : 도취, 과열, 파멸로 치닫는 경제위기 100년의 역사와 미래 2024 / 지음: 린다 유 ; 옮김: 안세민 / 청림
인플레이션에 베팅하라 = Betting on inflation : "30년 물가안정기는 끝났다!" 2023 / 지음: 헤르만 지몬, 유필화 / 쌤앤파커스
프리드먼은 왜 헬리콥터로 돈을 뿌리자고 했을까 : 모두를 위한 양적 완화 옹호론2020 / 지음: 프란시스 코폴라 ; 옮김: 유승경 / 미래를소유한사람들
불황의 경제학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의 세계 경제 대진단2015 / 지음: 폴 크루그먼 ; 옮김: 안진환 / 세종서적
대공황의 세계 1929-19392018 / 지음: 찰스 P. 킨들버거 ; 옮김: 박정태 / 굿모닝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