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과 개신교를 아우르는 기독교 2000년 역사 가운데 인류에게 저지른 잔악한 범죄상을 다룬 책. 타락한 성직자들에 의해 자행된 살육과 학살의 침략사를 살핀다. 막강한 권력을 형성한 기독교라는 종교가 인류의 인권을 짓밟은 인권 유린의 생생한 현장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점검한다.
목차
제6장. 유럽의 천주교인들이 중남미를 침략한 후에 나타난 죄악상 I. 천주교의 죄악은 통계가 증명하고 있다. II. 그 죄악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결론
제7장. 30년 전쟁(1620~1648) I. 30년 전쟁의 원인과 결과 II. 30년 전쟁이 인류에게 남겨준 교훈
제8장. 장 칼뱅(Jean Calvin)은 진정 개혁자였는가? I. 칼뱅의 업적 II. 종교법원(Consistory Court)의 죄악 III. 칼뱅주의의 여파 IV. 칼뱅주의의 독선과 배타성 V. 재고하여야 할 선교정책 VI. 칼뱅의 살인은 무엇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VII. 개신교의 교파 분열의 죄악 VIII. 칼뱅은 구원을 받았는가? IX. 칼뱅은 정통인가, 이단인가?
제9장. 두 얼굴을 가진 청교도들 I. 청교도와 신앙의 자유 II. 청교도들의 도피 : 네덜란드로, 아메리카로 III. 청교도들의 아메리카 정착 IV. 유럽인들의 아메리카 이민 약사 V. 포카혼타스 공주 이야기 VI. 청교도와 원주민의 토지에 대한 개념 차이 VII. 청교도 성직자들의 잘못된 종교정책 VIII. 청교도들의 유럽 탈출과 그 목적 IX. 원주민 노예 X. 침략자와 원주민들 간의 주객전도(主客顚倒) XI. 미국의 독립전쟁과 원주민 XII. 눈물 젖은 길(The Trail of Tears) XIII. 청교도들의 미국 건설의 대가 : 정복과 멸망 결론
제10장 : 인류 구원의 종교 I. 인류를 구원할 수 있는 종교는 존재하는가? II. 인류는 언제까지 종교 충돌의 위협 속에서 살아야 하는가? III. 기독교가 타종교와 공존하는 일의 장애물은 무엇인가? IV. 각 종교의 독선적이고 배타적인 교리는 인류사회에 도움이 되었는가? V. 인류 구원의 종교
결론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알수록 재미있는)그리스도교 이야기. 22016 / 박승찬 지음 / 가톨릭
세계화 시대의 그리스도교: 20세기 교회사2020 / 지음: 배덕만 / 홍성사
기독교의 발흥2016 / 지은이: 로드니 스타크; 옮긴이: 손현선 / 좋은씨앗
기독교 관점으로 본 세계사 . 1 , 창조부터 발견의 시대까지(BC 4004~AD 1500) 2022 / 지음: 제임스 스토보 ; 옮김: 김희정 / 부흥과개혁사
거침없이 빠져드는 기독교 역사 :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재미있는 기독교 이야기2014 / 유재덕 지음 / 브니엘
그리스도교의 탄생 : 역사학의 눈으로 본 원시 그리스도교의 역사2016 / 정기문 지음 / 길
기독교 죄악사. 상 : 사건 위주로 기술한, 성직자들이 저지른 2000년 죄악의 발자취2017 / 지음: 조찬선 / 평단
기독교 죄악사. 하 : 사건 위주로 기술한, 성직자들이 저지른 2000년 죄악의 발자취2017 / 지음: 조찬선 / 평단
그리스도교, 역사와 만나다: 유대교의 한 분파에서 세계종교가 되기까지 2,000년의 이야기2020 / 지음: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 옮김: 양세규, 윤혜림 / 비아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중국을 공략했는가 : 마테오 리치의 제국주의 기독교와 중국불교2018 / 편저: 심장섭 / 자유문고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생애와 사상 = Life and thoughts of Erasmus and Luther2016 / 저자: 김명수 / 그리심
종교개혁의 새벽별 = The morning star of the reformation : 존 위클리프와 존 후스의 생애와 사상2019 / 지음: 김명수 / 그리심
본회퍼를 만나다 : 그의 삶, 신앙, 신학, 사상 이해하기2013 / 자비네 드람 지음 ; 김홍진 옮김 / 대한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