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프롤로그

Ⅰ 수륙재란 무엇인가
1. 수륙재의 기원과 의미
2. 수륙재의 역사
3. 수륙재의 의식집과 설행 구성

Ⅱ 진관사 수륙재의 역사와 구성
1. 진관사 수륙재의 역사
2. 진관사 수륙재의 일정과 재차 구성
3. 진관사 수륙재의 구성요소

Ⅲ 진관사 수륙재의 설행
1. 입재에서 육재까지
2. 낮재: 영산작법
3. 밤재: 수륙재


Ⅳ 진관사 수륙재의 특성
1. 국행수륙재의 전통 계승
2. 낮재와 밤재의 구성
3. 법인으로 증명하는 재차 구성
4. 의례와 악가무의 융합적 특성
5. 다양한 구성형태를 보이는 작법무

Ⅴ 진관사 수륙재의 전승현황과 가치
1. 지정경위
2. 전승현황
3. 진관사 수륙재의 전망과 가치

Ⅵ 악보

미주
참고문헌
Abstract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니까야 독송집  : 如是我讀 니까야 독송집 : 如是我讀 2018 / 지은이: 범일 / 김영사
스님이 춤은 왜 추나 스님이 춤은 왜 추나 2006 / 능화 지음 ; 최재우 일역 / 푸른세상
불교 상제례 안내  : 재가신도를 위한 상례와 제례 지내는 법 불교 상제례 안내 : 재가신도를 위한 상례와 제례 지내는 법 2011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연구실 편찬 / 조계종출판사
불교 상제례 안내  : 재가신도를 위한 상례와 제례 지내는 법 불교 상제례 안내 : 재가신도를 위한 상례와 제례 지내는 법 2011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연구실 편찬 / 조계종출판사
절에 가는 날  : 한국불교의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바로알기 절에 가는 날 : 한국불교의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바로알기 2014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 구미래 ; 자현 ; 이미령 엮음 / 조계종출판사
절에 가는 날  : 한국불교의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바로알기 절에 가는 날 : 한국불교의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바로알기 2014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 구미래 ; 자현 ; 이미령 엮음 / 조계종출판사
불교의례  : 그 몸짓의 철학 불교의례 : 그 몸짓의 철학 2018 / 지음: 이성운 / 조계종출판사
진관사 수륙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26호 진관사 수륙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26호 2017 / [편]: 국립무형유산원 / 민속원
현충재 현충재 2006 / 능화 글 ; 최용백 사진 / 푸른세상
진관사 수륙재의 민속적 의미 진관사 수륙재의 민속적 의미 2012 / 진관사 수륙재보존회 편 / 민속원
영산재의 공연문화적 성격 영산재의 공연문화적 성격 2006 / 한국공연문화학회 지음 / 박이정
스님! 불 들어갑니다 빨리나오세요 : 1600년의 산사축제 : 스물여덟 분 큰스님들의 다비식 스님! 불 들어갑니다 빨리나오세요 : 1600년의 산사축제 : 스물여덟 분 큰스님들의 다비식 2013 / 임윤수 글·사진 / 재원
만다라의 신들 : 불교의 아이코놀로지 만다라의 신들 : 불교의 아이코놀로지 2001 / 立川武藏 저 ; 金龜山 옮김 / 동문선
중국불상의 세계  = Story of Chinese buddhist sculpture 중국불상의 세계 = Story of Chinese buddhist sculpture 2018 / 지은이: 배재호 / 景仁文化社
사리= 舍利 사리= 舍利 2022 / 지음: 신대현 / 혜안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진관사 수륙재의 민속적 의미 진관사 수륙재의 민속적 의미 2012 / 진관사 수륙재보존회 편 / 민속원
연등회  : 국가무형문화재 제122호 연등회 : 국가무형문화재 제122호 2017 / 국립무형유산원 [편] / 국립무형유산원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