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정부란 국가 간 체계를 평화적으로 관리하고, 의견을 달리하는 시민 집단들 사이에서 경쟁과 협력의 정당정치를 이끌며, 경제의 주요 생산자 집단들 사이에서 공정한 영향력이 교환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해 줌으로써, 사회 구성원 개개인이 좀 더 자유롭고 평등하고 건강하고 안전하고 평화로운 삶을 영위할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있다.
목차
엮은이 서문
1장 통일인가 평화공존인가 1. 한국 외교정책의 여섯 가지 명제 2. 현실에 대한 다른 이해가 필요하다 : 김정은 체제에서의 북한과 북핵 그리고 사드 문제 3. 한국전쟁의 교훈 : 역사적이고 현실주의적 관점(realist view)에서 본 한중 관계 4. 미국과 중국, 일본 사이에서 가능의 공간을 찾아 넓혀야 한다 5. 보수와 진보의 컨센서스가 중요하다 : 독일 통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교훈 6. 맺음말 : 독립적 행위자로서 한국 외교의 길
2장 개혁 보수의 길 1. 보수 개혁파의 등장 2. 보수 위기의 원천 3. 변화의 네 방향 4. 새로운 보수의 길 : 결론을 대신하여
3장 ㅣ대담ㅣ노동문제와 코포라티즘, 그리고 민주주의 1부 노동문제와 정치학 1. 두 인연 2. 정치학적 관심으로의 전환 3. 한국 사회의 이념적 단면들 2부 코포라티즘의 이론과 실제 4. 이념의 관점에서 이익의 관점으로 5. 네오 코포라티즘 : 마르크스주의와 미국식 다원주의에 대한 대안적 접근 6. 코포라티즘의 변화와 위기 : 독일의 사례 7. 프랑스의 사례 : 마크롱 개혁을 어떻게 볼 것인가 3부 코포라티즘과 한국 민주주의 8. 코포라티즘과 제한 정부 9. 한국식 코포라티즘 : 노동 있는 민주주의로 10. 코포라티즘 이론의 패러독스
서가브라우징
한반도 비핵화 리포트2019 / 지음: 조성렬 / 백산서당
불가사의한 국가 : 북한의 과거와 미래2016 / 빅터 차 지음 ; 김용순 옮김 / 아산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