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 가상 대담으로 파헤친 서울이라는 공간
프롤로그 2 등장인물 소개
01 공공 공간
공공 공간, 사회 수준의 가늠자
서로 다른 광장 DNA
근대 서울, 프로파간다로서의 광장
밀레니엄 칠삭둥이, 광장 문화
광장, 양의 문제
광장, 질의 문제
모노톤의 메가 리버, 한강
백 투 더 퓨처
한강 르네상스 vs 신 한강종합개발
신 한강종합개발의 첫 관문, 여의도 수상부두
노점 아일랜드, ‘최초’의 풍경
재래시장과 푸드트럭 활성화 그리고 실패로부터의 교훈
노점 아일랜드, 새로운 식문화의 DNA
일일 노점 대교, 보행과 재미의 풍경으로
02 공공개발사업
어리석은 제로섬게임, 동대문디자인플라자
흥행이라는 반쪽 잣대
프랜차이즈 랜드마크
번갯불에 구운 슈퍼콩, DDP
스타 건축가라는 한 방
절반의 성공 그리고 남은 숙제
서울역 고가, 패러다임 시프트
서울역 고가와 하이라인
교통 문제 아닌 교통 문제
보행의 낙수효과 그리고 메가 스트럭처
공공개발사업 성공의 키, 거버넌스
03 보존
역사라는 콤플렉스
이유 있는 핫플레이스, 북촌
북촌, 값지게 얻은 보존 문화
자발적 보존, 한옥 등록제
한옥 수선 기준, 보존과 신축 사이에서
상하이 신톈디, 보존과 개발의 공존
상하이 신톈디와 서울 북촌, 커뮤니티의 붕괴
상하이 티엔즈팡, 핫플레이스와 커뮤니티의 공존
매력적인 동네의 숙제, 젠트리피케이션
04 아파트
아파트 진원지, 서울
아파트, 산업화 시대의 주거
아파트, 디스토피아 혹은 유토피아
아파트 권하는 사회, 교묘한 줄타기
싱가포르가 될 수 없었던 한국
주거권의 척도, 공공임대주택
주거권의 척도, 민간임대주택
뉴스테이, 주거 아닌 사업 안정화 대책
토건업을 둘러싼 끈끈한 우정
운명 공동체, 아파트와 보수주의
그들만의 공동체, 아파트
브랜드 그리고 주거 상품
공공의 직무유기 그리고 각자도생
상상 1. 아파트 단지의 해체-경제 위기 뇌관의 제거
상상 2. 아파트 단지의 해체-동네 커뮤니티의 부활
상상 3. 다세대, 다가구 동네를 ‘유러피안 동네’로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