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언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이 변화한 계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연구사의 시대를 구분하고, 연구의 역사적인 흐름을 생명체적으로 기술하여, 연구 사실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계승해 가는 역사적인 모습을 서술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총론
제1강 언어학, 그리고 언어학사
1. 언어학의 연구 대상과 방법
2. 언어학사의 연구 대상과 방법
3. 언어학사의 흐름
제2부 18세기까지의 언어 연구
제2강 고대 서양의 언어 연구
1. 고대 그리스 시대의 언어 연구
2. 고대 로마 시대의 언어 연구
제3강 중세와 근대 서양의 언어 연구
1. 중세 시대의 언어 연구
2. 근대 시대의 언어 연구
제4강 동양의 언어 연구
1. 인도의 언어 연구
2. 중국의 언어 연구
3. 일본의 언어 연구
제5강 근대 이전 한국의 언어 연구
1. 한국의 언어 연구 흐름
2.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글자생활
3. 훈민정음 창제
제3부 19세기의 비교언어학
제6강 고전 비교언어학
1. 비교언어학의 발생
2. 비교언어학의 개념
3. 19세기 초기의 비교언어학
4. 19세기 중기의 비교언어학
제7강 젊은이문법학파
1. 젊은이문법학파의 형성
2. 젊은이문법학파의 특징과 업적
3. 파울과 그의 《언어사원리》
4. 젊은이문법학파 이후
제8강 19세기 언어철학 연구
1. 훔볼트의 언어철학 연구
2. 심리주의 언어철학 연구
제4부 20세기의 구조주의 언어학
제9강 20세기 언어학의 성격
1. 20세기 언어학의 특성
2. 구조주의 언어학
3. 비구조주의 언어학
제10강 소쉬르의 언어 연구
1. 소쉬르의 생애
2. 《일반언어학강의》
3. 소쉬르의 학문
4. 소쉬르 학문의 언어학사적 의의
제11강 유럽의 구조주의 언어학
1. 제네바학파
2. 프라하학파
3. 코펜하겐학파
4. 영국, 프랑스, 독일의 언어학계
제12강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
1. 개관
2. 기술언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3. 기술언어학의 전개와 발전
4. 기술언어학 이론의 한계
제5부 현대 언어학의 발전
제13강 변형생성문법 이론
1. 배경
2. 촘스키
3.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특징과 표준이론
4. 표준이론 이후의 변모
5.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언어학사적 의의와 한계
제14강 현대 언어학의 다양한 전개
1. 언어의 구조 연구
2. 언어의 역사 연구
3. 언어유형론과 언어다양성
4. 사회언어학
5. 심리언어학
6. 컴퓨터언어학
제15강 현대 한국의 언어 연구
1. 주시경의 언어 연구
2. 외래 언어 이론의 수용 양상
3. 현대 한국의 언어 연구 흐름
제16강 현대 언어학이 나아갈 방향
1. 연구사의 의의
2. 연구 목표
3. 연구 대상
4. 연구 방법
5. 현대 언어학의 과제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