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갈등의 본질, 다양한 유형, 유형별 특성과 갈등관리 전략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한 갈등커뮤니케이션 입문서이다. 전체적인 구성은 갈등상황별로 구분하여 각 장별로 특징적 사안과 문제점을 다루고 관리방안을 언급하였다.
목차
프롤로그: 왜 갈등과 소통인가?
제 1 장_ 부부·연인 갈등
01 갈등을 부르는 커뮤니케이션 행동
02 남과 여, 서로 참 다르다
03 개인차를 만드는 성격 특성 Big 5
04 유토피아적 시각, 오히려 위험하다
05 갈등 수위가 상승하면 매개체를 이용하라
06 부부갈등 불똥, 자녀에게 고스란히 간다
07 소통능력은 길러지는 것: 마음 챙김이 중요하다
제 2 장_ 학교갈등
01 학교갈등 폭력성, 위험 수위를 넘었다
02 SNS폭력, 가장 많고 가장 심각하다
03 학교 ‘왕따’의 가해자와 피해자
04 열혈 부모 교육열, 자녀 미래를 위한 것?
05 미디어중독을 경계하자
제 3 장_ 도시이웃갈등
01 메가시티의 신(新)‘도시종족’
02 층간소음갈등이 살인을 부른다
03 공동주택 ‘소셜믹스’ 정책, 갈 길이 멀다
04 갑질고객 ‘블랙컨슈머’로 감정노동자의 상처가 깊다
05 도시이웃의 갈등관리, 전투태세는 금물이다
제 4 장_ 다문화사회 갈등
01 한국사회, 다문화사회로 바뀌고 있다
02 다문화사회가 일자리갈등을 부추긴다?
03 결혼이주여성이 겪는 삼중고(三重苦)
04 자문화 중심주의는 반드시 버려야
05 다문화 통합정책과 국민의식 변화가 필요하다
제 5 장_ 직장갈등
01 한국직장, 근무시간은 길고 노동생산성은 하위권
02 돈보다 칼퇴근이 더 좋아
03 워킹맘이라 미안해
04 ‘갑질’하는 직장상사
05 동료 간 갈등도 한몫한다
제 6 장_ 공공갈등
01 좋은 것은 우리 갖고 나쁜 것은 남 주자
02 환경갈등, 개발이냐 보전이냐
03 전기료 누진제, 소송으로 갔다
04 공공갈등은 미디어로 확산된다
05 공공갈등관리의 핵심은 커뮤니케이션
제 7 장_ 디지털사회 세대갈등
01 디지털기술이 새로운 사회갈등을 만들다
02 온라인 공간, 현실참여의 장이 되다
03 디지털사회 갈등이 세대갈등으로
04 디지털갈등 주요 쟁점들
05 디지털 신세대의 특징
06 세대갈등이 증폭되다
07 세대갈등관리, 다름을 인정하기·소통하기
제 8 장_ 디지털 젠더갈등
01 더 이상 남성지배사회가 아니다
02 온라인 공간이 젠더갈등의 발화점
03 개똥녀 사건, 여성혐오로 번지다
04 사회불안정서가 여성혐오를 부른다
05 여성혐오가 대중문화로 파고들다
06 여성혐오에 맞서는 남성혐오: 미러링
07 소통과 공감이 절실한 한국사회
에필로그: 소통은 너와 나의 마음 챙김이다
함께 읽으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