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신체장애와 장애연구
1. 신체장애의 개념
2. 장애운동
3. 장애문화운동
4. 장애연구의 현주소
제2장 장애연극의 어제와 오늘
1. 장애연극의 개념
2. 영미드라마에 나타난 신체장애의 재현
3. 장애연극
제3장 장애연극 드라마투르기
1. 『마지막 기형 쇼』: 서커스의 거울과 되받아 보기
2. 수화 연극과 새로운 연극 언어:『의상 벗기』의 다성적 공연
3. 장애 정체성의 재구성을 위한 드라마투르기
제4장 청각장애와 신체장애
1. 청각장애인 정체성
2. 청각소수 문화
3. 『작은 신의 아이들』: 청각장애인의 정체성
제5장 장애인 정체성, 장애 정치학
1. 장애인 정체성과 장애인 문화에 관한 논쟁
2. 『장애*변종들: 장애인의 숨겨진 역사』:몸의 재구성
3. 『기분 나쁜 놈들』: 독립 추구와 저항의 공간
4. 『너무나도 심술궂은』: 장애인 정체성과선택권
5. 『악마에게 동정을』: 차이를 위한 토론
제6장 우생학 이데올로기와 신체장애
1. 유전학의 기원
2. 현대연극과 우생학
3. 쇼의 초인과 계획적 생식
4. 『알란의 아내』:우생학과 유아 살해
5. 『이상한 막간극』:보이지 않는 유전자의 힘
6. 올비의 『주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디스토피아와 유전공학
제7장 신체장애와 윤리: 안락사, 죽을 권리, 돌봄의 윤리
1. 『도대체 누구의 삶인가?』: 장애인의 죽을 권리
2. 『안녕, 어머니』:자살과 존엄성
3. 『조 에그의 하루』:돌봄의 윤리
제8장 정상과 비정상: 규범과 기형의 담론적 생산
1. 규범과 정상의 개념
2. 신체적 타자, 문학적 타자:『엘레펀트 맨』과 『비너스』
3. 피터 반즈의 극: 탈규범의 미학
제9장 질병 다시 읽기
1. 질병 내러티브
2. 자전적 질병 일인극
3. 리자 크론의 『건강』: 질병의 타자화
4. 『티슈』: 질병의 공포와 오명화의 공포
5. 『위트』: 존재의 연약함과 위트
제10장 장애연극의 미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