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적 사고에 대한 논의는 지리 교육의 필요조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린이의 지리적 사고력이 어떻게 발달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초등학생의 지리적 사고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해 온 저자가 지금까지 발표한 11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어린이의 공간 이해 발달 제1장 어린이의 공간 인지 능력 발달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연구 경향 3. 공간 인지의 발달 4. 공간 관계 조직의 발달 5. 지도화 능력의 발달 6. 공간 인지 능력 발달과 성별, 사회성, 도농과의 관계 7. 결론 제2장 어린이의 세계 이해도 발달 1. 서론 2. 초등학생들의 세계 이해도 발달 분석 3.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결론을 대신하여 제3장 어린이의 공간 포섭관계 이해 1. 서론 2. 분석 방법 3. 세계 포섭관계에 대한 조사 결과 4.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5. 결론 제4장 어린이의 국가 정체성 발달 1. 서론 2. 국가 정체성 이해의 분석 3.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제2부 어린이의 지리 개념에 관한 이해 제5장 어린이의 지리 오개념 1. 서론 2. 지리 오개념의 분석 3. 분석 결과에 관한 논의 4. 결론 제6장 어린이의 하천 개념 발달 1. 서론 2. 어린이의 강에 대한 인식 3. 결론 제7장 어린이의 영토 이해 -독도를 중심으로- 1. 서론 2. 어린이의 독도에 관한 기초 지식 3. 어린이의 독도에 관한 기초 인식 4.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제8장 어린이가 선호하는 놀이 장소 1. 서론 2. 초등학생의 선호 장소 분석 3. 결론
제3부 어린이의 지리 문해력 신장 제9장 어린이의 세계지리 문해력 계발 1. 서론 2. 세계지리의 기본 지식 조사 3. 세계지리 문해력 계발을 위한 수업 활동 4.세계지도 퍼즐을 활용한 수업 활동의 결과 5. 결론 제10장 생태지도 만들기를 통한 환경감수성 신장 1. 서론 2. 생태지도 그리기의 설계 3. 생태지도 그리기 활동의 실제 4. 결론 제11장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지리 어휘 비교 1. 서론 2. 연구 설계 3.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세계지리 어휘 분석 4. 결론 부록: 분야별 어휘 비교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국어 공부의 기술 : 수능 국어가 난생 처음인 너를 위한 2022 / 지음: 이해황 / 메가스터디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