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율곡과 노자 = Yulgok and Laozi : a philosophical exploration on Suneon : 『순언』에 관한 철학적 모색
발행연도 - 2016 / 이종성 지음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25642
-
ISBN
9788975996030
-
형태
459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한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한국철학
책소개
조선시대 최초의 <노자> 주해서인 율곡의 <순언>을 풀이한 책으로, 전체 11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순언>의 저술 동기와 구성체계를 살펴보았고, 제2장은 <순언>에 나타난 형이상학의 문제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목차
01 『순언』의 저술 동기와 구성 체계
1. 율곡철학의 특징
2. 『순언』의 저술 동기
3. 『순언』의 구성 체계
4. 담와 홍계희희 『순언』관
02 형이상학적 세계관
1. 머리말
2. 도의 본체와 묘용: ‘무위’의 공능과 ‘무불위’의 효용
3. 사물의 본체와 작용: 사물의 현전과 기의 분화
4. 도와 사물의 존재론적 상관관계
5. 맺음말
03 덕론과 그 구현의 문제
1. 문제의 제기
2. 덕론의 기본 입장
3. 덕의 몇 가지 유형과 특징
4. 덕의 구현과 방법
5. 현대적 의의
04 수기론 또는 자아 수련의 문제
1. 자아 수련의 유도 회통의 가능성
2. 몸과 마음의 현상학
3. 욕망의 제어와 분별지의 부정
4. 덜어냄과 아낌 혹은 수렴의 거경학
5. 자아의 완성과 참된 도리의 구현
05 삼보론과 삶의 기술
1. 문제의 소재: 삶의 기술을 찾아서
2. 첫 번째 보배: 자애에 관하여
3. 두 번째 보배: 검약에 관하여
4. 세 번째 보배: 겸허에 관하여
5. 논의의 의의: 지도자의 덕목 갖추기
06 양생론의 철학적 의의
1. 문제의 제기
2. 양생에 대한 기본 관점
3. 양생에 대한 정치철학적 입장
4. 『순언』의 양생론적 의의
07 경세론의 기본 입장
1. 머리말
2. 경세론에 관한 연구사 검토
3. 경세의 전제 조건
4. 경세의 주체와 성인
5. 경세의 원리와 ‘무위’
6. 남은 문제들
08 무실의 경세학: 경세의 과제와 의의
1. 정치적 진실성의 결여 넘어서기
2. 사사로운 자아의 배제
3. ‘유위’의 정치적 해독의 제거
4. 무력의 전쟁에 대한 부정
5. 신령숭배에 대한 비판
6. 『순언』의 경세론적 의의
09 정치철학적 믿음의 함의
1. 문제의 제기
2. 천명에 대한 믿음과 자각
3. 언어와 정치적 믿음의 관계
4. 믿음의 정치적 구현 또는 정치와 도덕의 소통
5. 요약 및 남은 과제
10 큰길과 곁길: 『순언』의 선택지
1. 문제의 제기
2. 『순언』 종장의 구성과 내용
3. 큰길과 곁길의 구분
4. 큰길과 곁길에 대한 본말론적 해석
5. 논의의 종합
11 『순언』의 연구동향과 전망
1. 『순언』 연구사 고찰의 의의
2. 『순언』의 연구동향 및 특징
3. 남은 과제 혹은 『순언』 넘어서기
참고문헌
부록
[부록1] 『순언』 원문
[부록2] 『노자』 원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1 |
40대 | 1 |
50대 | 1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1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