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017년 개정판을 내면서
1981년 초판 머리말
제1장 신화와 역사
신화학의 필요
신화의 역사화는 가능한가?
추축시대
신화는 영원히 지속된다
역사학과 신화학의 차이
제2장 그리스시대의 역사사상
오리엔트 역사학
밀레토스학파의 역사사상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제3장 헬레니즘시대의 역사학
헬레니즘시대의 사상
폴리비오스
리비우스
타키투스
고대 역사학의 한계와 공헌
제4장 기독교 세계의 역사학
기독교 세계의 성립
역사서로서의 《구약성서》
초기 기독교의 역사관
초기 기독교의 역사서술 방법
교속(敎俗) 이원론적 역사관의 태동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관
역사학에 있어서 기독교의 공(功)과 과(過)
제5장 휴머니즘시대의 역사학
르네상스와 그 역사학의 특징
마키아벨리 이전의 역사가들
마키아벨리의 역사사상
귀치아르디니의 역사서술
바사리의 예술사
종교개혁과 역사사상
이 시대 역사학의 한계점
제6장 이성시대의 역사사상
이성시대의 의의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반역사적 사상
몽테스키외의 데카르트적 역사학
볼테르의 역사철학
데이비드 흄의 인성학적 역사학
제7장 낭만주의시대의 역사사상
계몽주의와 낭만주의
비코의 인식론적 역사학
헤르더의 역사철학
칸트의 9개 명제
헤겔의 역사철학 강의
낭만주의 역사철학에 있어서 비코의 위치
칼 마르크스, 그 인물
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
제8장 실증주의시대의 역사학
실증주의
랑케의 실증주의적 역사학
제9장 반실증주의적 역사학
실증주의적 역사학의 한계
크로체의 역사사상
크로체의 사상사
콜링우드의 역사인식론
제10장 역사학에 있어서의 현대적인 여제(餘題)
역사학의 현대적 문제
역사와 역사학의 의미
역사학의 무산(霧散)
인식방법론으로서의 역사학=역사적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