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의 말
1 동학농민전쟁을 다시 생각한다 / 배항섭
‘동학수괴’ 전봉준의 생각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
무장포고문에 감춰진 진실
우리의 근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대한제국 외교의 가능성과 한계 / 은정태
약소국 감각과 생존의지
조공질서의 효용
조약질서와 조공질서 사이에서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균형
다자관계와 양자관계에서의 독립
19세기 조선 독립과 21세기 한반도 평화
3 3·1운동, 서로 다른 세 개의 기억 / 이기훈
1919년 1월 도쿄의 밤
1919년 1월 서울
3월 1일, 그날 이후
변방에서 울리는 만세의 함성
체포와 탈출, 이후의 이야기
4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박찬승
상하이와 한성, 두 곳의 정부
임시정부 수립일은 언제인가
우여곡절 끝에 만들어진 임시정부
사공은 많고, 갈 길은 멀고
광복을 준비하다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
5 식민지의 젊은이들, 오늘의 젊은이들 / 이기훈
옛날의 젊은이들
부형도 없고 선배도 없어라
1920년대, 청년의 시대
1930년대의 모범청년, 중견청년
해방 이후의 청년들
6 기억 저편의 사회주의 혁명가들 / 최규진
그들은 왜 사회주의자가 되었을까
개량인가, 혁명인가
직업적 혁명가들과 1920년대 조직
투쟁을 통한 조직, 조직을 통한 투쟁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들이 설계한 새 세상
그들이 남긴 것, 새로운 옛이야기
7 친일청산을 하지 못한 대가 / 이준식
반민특위 이후 금기가 된 친일청산
분단체제의 독재정권 아래 왜곡된 친일의 역사
친일파, 다시 역사 앞에 서다
과거를 기억하지 않고는 미래도 없다
8 잘못 낀 첫 단추, 일본군 ‘위안부’ / 소현숙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그들이 부인하는 역사적 사실
40년 뒤에야 터져나온 목소리
‘국민기금’과 화해의 실패
거꾸로 가는 과거사 청산
일본군 ‘위안부’, 한국군 ‘위안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