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제1장 유교 ― 도교 ― 불교 ― 중국 고전 문론의 문화적 뿌리
제2장 ‘기(氣)’ ― ‘신(神)’ ― ‘운(韻)’ ― ‘경(境)’ ― ‘미(味)’ ― 중국 고전 문론의 민족 문화적 개성
제3장 감물(感物) ― 언지(言志) ― 원도(原道) ― ‘천인합일(天人合一)식의 문학 본체론
제4장 ‘눈 속[眼中]’ ― ‘마음속[胸中]’ ― ‘손으로 그려낸[手中]’ ― ‘마음속에 완성된 대나무가 있다[胸有成竹]’는 식의 문학창작론
제5장 ‘언외(言外)’ ― ‘상외(象外)’ ― ‘운외(韻外)’ ― ‘문외지중지(文外之重旨)’식의 문학작품론
제6장 ‘허정(虛靜)’ ― ‘역지(逆志)’ ― ‘품미(品味)’ ― ‘지음(知音)’식의 문학 독자론
제7장 ‘지사적분(志思蓄憤)’ ― ‘정경융합(情景融合)’ ― ‘연사결채(聯辭結采)’ ― 중국 고전문학의 서정론
제8장 ‘격물(格物)’ ― ‘성격(性格)’ ― ‘한필(閑筆)’ ― 중국 고대 문학 서사론
제9장 ‘의상(意象)’-‘의경(意境)’-‘전형(典型)’ ― 중국 고전문학의 심미 이상론
제10장 ‘전통’-‘해석’-‘새로운 변화’ ― 중국 문학이론의 통(通)과 변(變)
부록 1 참된 의미의 획득과 새로운 의미의 발산 ― 중국 고전 문론 연구의 방법론에 대하여
부록 2 《문심조룡文心雕龍》의 ‘잡이불월雜而不越’설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