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와 근대가 만든 역사관을 제거하고 동아시아 역사상을 다시 구축하자는 것을 모토로 한 '19세기의 동아시아' 시리즈 3권. 전근대와 근현대의 단절을 극복하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근대를 어떻게 보느냐 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한다.
목차
머리말
도입_동아시아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 미야지마 히로시
1부_정치와 사회 1장_ 백성이 호소하고 국왕이 들어주다-'근세' 동아시아의 정치문화와 직소 / 배항섭 2장_ 19세기 전반 일본에서 군주 친정의 대두-도쿠가와 나리아키의 경우 / 박훈 3장_ 조선 후기 부계가족, 친족 확산을 보는 보는 관점 / 권내현 4장_ 19세기 공노비 후손들의 삶-제주도 대정현의 사례 / 김건태
2부_문화와 사상 5장_ 18세기 후반~19세기 조선의 언어와 문자 의식에 대한 시론 / 이경구 6장_ 연암그룹 지식인들의 천天 인식 / 조성산 7장_ 19세기 지식장의 변동과 문명의식-홍한주, 이규경, 최한기를 중심으로 / 김선희 8장_ 근대 계몽기 신문과 추리소설-『신단공안神斷公案』을 중심으로 / 박소현 9장_ 18, 19세기 농서에 나타난 경험적 지식의 의미 변화와 분화 / 안승택
3부_재정정책 10장_ 18, 19세기 납세조직의 활동과 지방재정 운영 / 손병규 11장_ 다산 정약용의 수령 진휼론에 나타난 주자진법朱子賑法의 적용과 그 당대적 변용-『목민심서』 진황조의 분석 / 송양섭 12장_ 재정사財政史의 각도에서 다시 보는 한중 관계-「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의 재검토 / 문명기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전쟁으로 보는 동양사 : 만화라서 더 재밌는 역사 이야기 2023 / 글: 살라흐 앗 딘 ; 그림: 압둘와헤구루 / Book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