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에 관한 기존 학설은 한국민족의 원민족이 바이칼 지방, 카프카스 지방, 알타이 지방, 몽골 지방, 시베리아 지방, 고중국 북부지방 등에서 각각 형성되어 고(古)한반도에 이동·이입해 들어왔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목차
머리말
제1편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에 대한 '한'·'맥'·'예' 3부족 결합설 제1장 문제의 한정 제2장 '古한반도 초기신석기인 유형'의 성립과 분화 제3장 '한'부족의 형성과 '한강문화'의 특징(Ⅰ) 제4장 '한'부족의 형성과 '한강문화'의 특징(Ⅱ) 제5장 '한'부족의 '군강국가' 출현 제6장 '맥'부족의 형성과 그 신석기문화의 특징 제7장 '예'부족의 형성과 요동지역 신석기문화의 특징 제8장 '한'·'맥'·'예' 3부족 연맹과 고조선 건국 제9장 '한'·'맥'·'예' 3부족 결합에 의한 古한반도에서의 한국민족 형성 제10장 맺음말: 한국민족 형성에서의 '한'부족의 지위와 역할
제2편 한국 '원민족' 형성과 '전근대민족' 형성 제1장 문제의 한정 제2장 인종 및 구석기인·신석기인과 한국 '원민족'의 구분 제3장 한국 '원민족'으로서의 '고조선민족' 형성 제4장 고조선민족이 곧 한국 '원민족' 제5장 한국 '전근대민족'의 형성 제6장 한국 '전근대민족' 형성의 완성 문제 제7장 한국 '전근대민족'과 '원민족'의 차이 제8장 맺음말: 한국 '전근대민족' 형성의 특징
제3편 한국 '근대민족' 형성과 민족의식 제1장 문제의 한정 제2장 근대민족의 특징과 근대민족 형성의 사회적 조건 제3장 근대민족 형성과 사회신분제 폐지 제4장 근대민족 형성과 자본주의의 발흥 제5장 근대민족 형성과 민주주의의 발흥 제6장 근대민족 형성과 국민 '신교육' 보급 제7장 근대민족 형성과 국민의 문화적 성장 제8장 근대민족 형성과 '민족의식'의 강화 발전 제9장 맺음말: 19세기 한국 '근대민족'의 형성과 발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식인과 제왕2011 / 저:마빈 해리스 ; 옮김:정도영 / 한길사
식인문화의 수수께끼2019 / 지음: 마빈 해리스 ; 옮김: 정도영 / 한길사
지구별 토종 원주민 이야기2019 / 엮어지음: 홍석화 / 귀거래
우리 사회에 대한 성찰적 민족지 : 대대문화문법과 한국의 문화 전통 연구2014 / 강신표 지음 / 세창출판사
동해안 어촌의 민속학적 이해2001 / 권삼문 지음 / 민속원
도깨비 본색, 뿔 난 한국인 : 김열규 교수의 도깨비 읽기, 한국인 읽기2010 / 김열규 지음 / 사계절출판사
도깨비 본색, 뿔 난 한국인 : 김열규 교수의 도깨비 읽기, 한국인 읽기2010 / 김열규 지음 / 사계절출판사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 연구 = The origin and formation of Korean nation2017 / 지음: 신용하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인류학과 지방의 역사:, 서산사람들의 삶과 역사인식2004 / 역사인류학연구회 편 / 아카넷
그래서 한국인2018 / 지음: 이상현 / 채륜서
그래서 한국인2018 / 지음: 이상현 / 채륜서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만주 아리랑 = Manchuria arirang of Korean-Chinese diaspora2013 / 김영필 지음 / 소명출판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만주 아리랑 = Manchuria arirang of Korean-Chinese diaspora2013 / 김영필 지음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