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Ⅰ. 1923년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1.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2. 주요 주제와 구성
Ⅱ. 과학과 사회적 가치의 관계: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의 출발점
1. 가치와 사실 문제의 핵심
2.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의 배경: 과학만능주의 파산론
3. 장쥔마이(張君勱)와 딩원장(丁文江)의 논쟁: 주관적ㆍ개인적 가치와 가치의 사회성ㆍ객관성 문제
4. 소결론
Ⅲ. 개인적ㆍ주관적 가치의 사회적 가치로의 전환 가능성: 형이상학파(玄學派)의 주장
1. 주관적 심리작용과 양심의 보편성
2. 대인격(大人格) 실현 과정 안에 있는 소인격(小人格)
3. 윤리규범 문제에서 주관적 형식의 보편타당성
4. 소결론
Ⅳ. 사실로부터 가치 도출의 문제: 과학파와 유물사관파의 입장
1. 모든 현상에 실재하는 과학 방법의 원리: 인과(因果)와 제일(齊一)
2. 과학적 우주론으로 환원 가능한 가치: 재질(質)과 힘(力)
3. 물질적 원인에서 비롯된 가치와 그 내용: 유물사관
4. 소결론
Ⅴ.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안의 세 가지 논쟁
1. 인식론 논쟁
가. 딩원장(丁文江)의 과학적 인식론: 경험주의적 인식론
나. 과학적 인식론에 대한 장쥔마이(張君勱)의 비판: 선험주의적 인식론
2. 가치의 주관성/객관성 논쟁
가. 사랑과 아름다움의 주관성/객관성 논쟁
나. 윤리규범의 주관성/객관성 논쟁
3. 과학파와 유물사관파 사이의 논쟁
가. 사회의 변동과 사회적 가치를 결정하는 객관적 원인
나.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의 핵심 문제
4. 소결론
Ⅵ.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과 유교사상
1. 장쥔마이(張君勱)가 언급한 ‘송학’(宋學)의 성격: 양명학(陽明學)
가. 송학에 대한 장쥔마이(張君勱)와 딩원장(丁文江)의 논쟁 내용
나. 장쥔마이(張君勱)가 주장한 송학의 특징
다. 장쥔마이(張君勱)의 양명학 주창 원인
2. 주자학과 과학파: 과학파의 보편적 가치 내용 부재
가. 딩원장(丁文江)의 주장과 주자학의 특징
A. 지식론의 최종 근거: 경험
B. 딩원장(丁文江) 주장의 ‘결함’: 법칙 발견의 필연성 결여
나. 왕싱공(王星拱)의 원리 실재론과 주자학의 이치(理)
다. 우즈후이(吳稚暉)의 우주론과 주자학의 우주론
3. 주자학과 유물사관: 사회적 가치 내용의 근거로서 사실의 원리
가. 유물사관파와 과학파의 차이점
나. 유물사관파의 사회론
다. 주자학과 유물사관의 유사성
4. 소결론
Ⅶ. 정리와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