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 실체를 밝히기 위해 집필되었다. 보고서 내용에 대한 비판을 담았으며, 보고서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왜곡된 보고서를 보완하여 역사적 실체를 복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목차
작가의 말- 경악, 분노, 연민, 기대
제1장 『제주4·3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1.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는가? 2. “제주 4·3사건 진생 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 3. 위원회의 조직과 인적 자원 4. 보고서 작성과 채택 과정 5. “제주 4·3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의 겨론
제2장 『제주4·3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비판 1. 자료 조사와 선택의 문제 2. 사건의 주체와 집필 관점의 혼란 3. 보고서 내용의 오류에 대한 비판
제3장 제주4·3사건의 실상을 밝혀주는 자료
제4장『제주4·3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작성과 채택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가? 1. 기획단 12차(심의 3차)회의록 2. 제주4·3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 사퇴의 변 / 한광덕 3. 제주4·3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 작성을 돌이켜 보면서 / 나종삼
제5장 4·3사건의 비극을 극복하기 위해서 1. 보고서 오류 2. 보고서 비판에 대한 제주사회의 반응 3. 4·3사건의 역사적 진실을 기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