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두 작가가 만나는 하나의 접점 -이상향·질투·도시
제01장 텍스트로부터의 해방과 이상향의 실천 -무샤코지 사네아쓰의 새로운 마을과 아리시마 다케오의 홋카이도 농장 / 왕태웅
제02장 『어떤 여자』와 『흐린 강』에 나타난 질투의 성차 -아리시마 다케오와 히구치 이치요의 시선을 중심으로 / 우성아
제03장 ‘욕망’과 ‘생활’ 사이를 걷다 -오리 다쓰오의 「서투른 천사」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근대도시공간 / 장유리
제2부 텍스트를 읽는 네 가지 시선 -성·스토리텔링·자아·음악
제04장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잔학기』가 지닌 의미 / 김전미
제05장 기억의 재구축과 ‘이야기하기’, 그 혼재에 대해 -『아련한 그리움으로의 편지』를 중심으로 / 조헌구
제06장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자아표현 -『달 향해 짖다』를 중심으로 / 채지혜
제07장 무라카미 하루키 『1Q84』에 나타난 음악의 역할 -<신포니에타>의 구조와 비결 / 임수현
제3부 문학과 공존하는 세 영역 -경제·잡지·교육
제08장 일본사회의 특징과 일본인의 기억 -‘그 무렵’에 대한 회상과 기억의 재생산 / 이상석
제09장 메이지기 아동잡지 『소년세계』와 조선 / 조경숙
제10장 일본문학 교육에서의 읽기의 가능성 -텍스트와 읽기를 중심으로 / 윤유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