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열며
1 19세기 황준센의 조선책략과 21세기 신조선책략
패러다임의 전환기가 도래했다
대북정책의 어려움에서 4강 구도의 와해까지
어떻게 국민정서를 넘어설 것인가?
2 전쟁을 넘어 무역으로, 패러다임의 대전환!
알렉산더에서 나폴레옹까지 전쟁 영웅들
소련은 왜 위성국가를 포기했는가?
거부할 수 없는 패러다임의 전환
후쿠야마와 헌팅턴, 그리고 캐플런
뉴 패러다임과 올드 패러다임의 혼전
3 북한, 개방과 소멸 사이에서 균형 잡기
1. 대북 인게이지먼트, 어떻게 할 것인가?
북한을 뉴 패러다임으로 이끄는 방법
북한이 처한 이율배반의 딜레마
현상인정과 트로이의 목마
봉쇄는 폭발을 일으킬 뿐이다
2. 대북 억지력과 비상대책
전쟁이라는 올드 패러다임의 유산
북한이 진정 두려워하는 것
외부에서 오는 소멸은 없다
개방과 붕괴의 길 사이에서
비상대책이 필요하다
4 한미동맹: 미국과 한국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통일한국, 중립국은 어울리지 않는다
만약 미군이 한반도에서 철수하다면?
북한에게 핵은 생존 문제인가?
북핵, 모든 옵션이 열려 있다!
북한이 얻을 것과 잃을 것
미·중·일·러에게 통일을 설득하는 방법
5 한중협력: 한중 관계의 변화하는 맥락들
부상하는 동북아, 그리고 한반도
동아시아 영토 분쟁은 어떻게 될 것인가?
미국과 중국은 충돌하지 않는다
이상주의를 넘어 가치 외교로
인권이 아닌 민생이 중심이 된다면
북중 관계에서 서서히 일어나는 변화
중국은 북핵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6 한일교류: 우경화의 일본,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일본의 팽창주의는 부활하는가?
탈아입구가 가진 두 가지 얼굴
수치로부터 도망치는 특유의 문화
유보되는 전략적 협력 관계
한미일 관계 속에서 중국을 주목하라
일본의 우경화, 냉철한 대처가 필요하다
7 피해의식의 극복이 핵심이다: 국민정서와 국민이익 사이에서
국민정서는 모든 것에 우선하는가?
피해의식을 앞세울 여유는 없다
변화와 적응만이 생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