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의 상황을 분석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전략서. 기자 출신으로 청와대와 정부에서 통일.외교 분야의 공직자로 재직했던 저자가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들을 살펴보고 우리가 나아갈 방향의 실마리를 찾는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민생과 공감의 나라
01 새로운 역사의 시작
02 민생·공감 강국이 진짜 강대국이다
03 중국 부상에 의한 안보 위기의 정체: 캐플런, 다이어, 하딕
04 GDP 5조 달러로 도약하려면
05 한국이 중국과 일본에 앞서는 이유
제2장 강대국으로 가는 길
06 국민이 준비해야 하는 것, 국가가 나서야 하는 것
07 강대국 도약을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08 부국(富國)의 왕도: 라이너트와 애쓰모글루에게서 배운다
09 치폴라와 매팅리가 전하는 국가 발전의 비밀
10 우리가 되찾아야 하는 ‘대포’와 ‘함선’ 그리고 ‘전략리더’
제3장 민생주의, 21세기 중도우파의 새로운 패러다임
11 민생주의의 역사적 기원과 정신
12 왜 민생주의인가
13 ‘국가’의 역할을 자임하는 국민의 탄생을 위하여
14 15개년 발전 로드맵과 4대 의제
제4장 하나의 대한민국을 향해
15 타파해야 할 한국의 ‘막부’와 ‘번’은 어디인가
16 공감국가로의 진화
17 하나의 대한민국을 가로막는 ‘슈퍼밈’
제5장 중산층을 복원하는 경제 패러다임
18 ‘워싱턴 컨센서스’와 1997년 IMF사태, 신자유주의 한국 상륙사
19 신자유주의로는 안 되는 이유
20 신자유주의의 대안: 크루그먼과 후쿠야마의 전략
제6장 '전략국민'과 '전략리더'의 탄생
21 전략국민이 전략리더를 만든다
22 조선과 근대 서구의 전략리더: 류성룡, 이순신, 비스마르크, 링컨
23 의제의 으로 역사를 바꾼 20세기 전략리더: 처칠, 이승만, 레이건
제7장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의 위기와 대안
24 수정주의 영합게임 정치의 정체
25 수정주의 영합게임 정치의 역사적 기원
26 국가 경영을 독점하기 위해 보수와 진보가 동원해온 의제들
27 개헌 그리고 행정구역∙정치시스템 개혁이 방향
제8장 강대국 도약을 위한 외교안보 비전
28 대북 정책과 외교안보, 제3의 길을 찾는다
29 ‘전략적 관여’가 시대정신이다
참고문헌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