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과 독일, 통일역사교육을 말하다 : 학자, 전문가, 교사들이 함께 토론하고 제시하는 통일역사교육
발행연도 - 2016 / 김춘식 편저 / 느티숲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25257
-
ISBN
9791195446667
-
형태
334p. 23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국방/군사/통일
>
북한/통일론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지난 2014년 독일 베를린 하르낙 하우스에서 개최된 <한독 통일역사교육포럼>의 결과물이다. 한국과 독일의 학자들과 교육일선에서 통일과 연관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해 엮은 책으로, 학술과 현장교육의 경험이 연계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 한국과 독일, 통일역사교육을 말하다/김춘식
1부 - 한국과 독일의 통일교육 현황과 과제
1.독일의 재통일-사건과 통찰/로타 드 메지에르
2.한독 통일역사교육의 현재와 미래/김춘식
3.통일을 위한 준비 :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가?/한만길
4.한국의 통일정책과 대북정책에 따른 통일교육의 방향성 모색/박광기
5.통일교육의 현황과 미래 대안/박찬석
6.새 패러다임으로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및 내용의 재설정/조정기
7.1990년 이후 교육제도에서 나타난 문제점들/베르너 페니히
8.한국 학교 통일교육의 실태와 내실화 방안/방연주
9.통일한국의 권력구조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이규영
2부 - 통일교육에서 통일역사교육으로
1.통일을 위한 역사교육 VS. 역사를 통한 통일교육/김기봉
2.전후 독일역사 통합의 방법과 문제점/크리스토프 클레스만
3.독일 통일 후의 역사교육과 통합적 전후시대사의 모색/한운석
4.한국 중학교 역사교육의 실태와 발전방향/정원영
5.통일 역사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역사수업의 실태와 대안/신석균
6.1990년 이후 베를린의 역사과목 교육계획안 작성/잉그리드 티넬-자게
7.학교 수업에서의 민주주의와 독재/옌스 휘트만
8.장벽붕괴 25년 후 역사수업에서 동독을 어떻게기억할 것인가?/베티나 알라비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