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아비담마는 붓다가 우리 몸과 마음을 비롯한 이 세계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어떻게 하면 붓다처럼 이 세계를 보고 경험할 수 있는지를 안내하고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이끌어, 궁극에는 우리로 하여금 모든 고통에서 영원히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상세한 가르침이다.
목차
추천사
한글판 서문
서문
도입
1. 2가지 종류의 실재
2. 2가지 종류의 진리
3. 궁극적 분석의 목적
제1장 마음
1. 욕계 마음(Kāmāvacara Citta)
2. 색계 마음(Rūpāvacara Citta)
3. 무색계 마음(Arūpāvacara Citta)
4. 출세간의 마음(Lokuttara Citta)
5. 마음에 대한 빠른 검토
제2장 마음부수
1. 마음부수들의 분류
2. 적용
3. 마음과 마음부수를 분석하는 이유
제3장 혼합 항목
1. 느낌(Vedanā)의 개요
2. 원인(Hetu)의 개요
3. 기능(Kicca)의 개요
4. 문(Dvāra)의 개요
5. 대상(Ārammaņa)의 개요
6. 토대(Vatthu)의 개요
제4장 인식과정
1. 인식과정이 일어나는 원인
2. 안문에서의 인식과정(Cakkhu-dvāra Vīthi)
3. 의문 인식과정(Mano-dvāra Vīthi)
제5장 인식과정에서 벗어난 마음과 존재계
1. 4가지 존재계
2. 재생연결의 4가지 양상(Paţisandhi-catukka)
3. 4가지 종류의 업(kamma-catukka)
4. 업의 문(Kamma-dvāra)과 3가지 유형의 업
5. 4가지 죽음의 도래(Maraņ’uppatti Catukka)
제6장 물질
1. 4가지 큰 필수 요소(Mahābhūa, 四大)
2. 파생 물질(Upādāya-rūpa)
3. 18가지 유형의 실제적인[구체적인] 물질(Nipphanna Rūpa)
4. 물질현상의 원인(Rūpa-samuţţhāna)
5. 물질 현상의 일어남(Rūpa-pavattikkama)
6. 열반(Nibbāna)
제7장 궁극적 실재의 범주
1. 해로운 범주의 개요(Akusala Sańgaha)
2. 혼합된 범주의 개요(Missaka-sańgaha)
3. 깨달음의 요소들의 개요(Bodhipakkhiya-sańgaha)
4. 전체 토대법(Vatthu-dhamma)의 개요
제8장 조건
1. 연기(Paţiccasamuppāda)
2. 연기법과 관련하여 눈에 띄는 몇몇 측면들
3. 조건관계(Paţţhāna) 방법
4. 개념(Paññatti)
제9장 명상주제
1. 명상주제(Kammaţţhāna)
2. 고요명상(samatha)의 3가지 단계
3. 통찰명상(Vipassanā-Bhāvanā)
4. 7가지 단계의 청정도
5. 성자들(Ariyā)
결론
역자 후기
부록
본문에 나오는 빠알리 단어 모음
<도표 1> 마음의 모든 것
<도표 2> 마음부수와 마음의 결합 방법
<도표 3> 마음부수의 조합 방법
<도표 4.1> 혼합-원인[뿌리] 조합 방법
<도표 4.2> 기능의 조합 방법
<도표 4.3> 문의 조합 방법
<도표 5.1> 대상의 조합 방법
<도표 5.2> 토대의 조합 방법
<도표 6> 존재계
<도표 7.1> 세상-업이 과보를 맺는 방법
<도표 7.2> 75가지 마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도표 8> 물질
<도표 9> 안문의 매우 큰 대상의 인식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