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설득과 비판, 그 진지한 유희
제1부 시인들의 신화 담론과 초기 철학 담론
제1장 신화와 상상: 철학 이전 시인들의 담론 전통
1. 호메로스의 신과 세상 이야기
2. 헤시오도스의 신과 우주 생성 이야기
3. 신화에서 철학으로?
4. 호메로스 서사시에서 양상 개념
제2장 자연의 발견: 파르메니데스 이전의 초기 철학 담론 전통
1. 자연의 발견과 우주론 담론 전통의 시작: 밀레토스학파
2. 형상의 발견과 신비적 전통: 피타고라스와 피타고라스학파
3. 신의 발견과 우주론 혁신: 크세노파네스
4. 영혼의 발견과 자기반성성: 헤라클레이토스
제2부 파르메니데스의 철학 담론
제3장 이중적 길 이야기: 담론의 세 부분 간의 유기적 연관과 통일성
1. 문턱 지킴이 디케에 대한 설득: 서시 여행 묘사에서 다이몬과 디케
2. 올바름과 필연: 진리편의 판가름과 표지 논변에서 디케와 아낭케
3. 우주적 질서와 섞임: 의견편 우주 이야기에서 아낭케와 다이몬
4. 길 이야기에서 신성 이미지의 역할: 신성 지시어 등장 구절 분석
제4장 전통과의 만남과 새로운 모색: 철학사적 맥락 속의 파르메니데스 담론
1. 계시와 설득: 시와 철학의 만남
2. 설득과 진리: 적절함과 필연
3. 의견과 그럴듯함: ‘자연에 관한’ 이야기들과 인식론적 비판
4. 에포스-뮈토스/로고스: 메타 담론적 반성과 설득
제3부 파르메니데스의 유산
제5장 비판적 계승: 파르메니데스 이후 자연철학 담론
1. 하나의 있는 것: 2세대 엘레아주의
2. 여럿과 섞임: 다원론
3. 없는 것이 있다: 원자론
4. 파르메니데스 이후 담론의 향방: 변증술과 수사학
제6장 소크라테스 이전과 이후?: 자연철학의 경계와 파르메니데스적 유산
1. 자연철학의 끝: 디오게네스와 아르켈라오스
2. 새로운 담론 전통의 시작: 소피스트들
3. …임과 …로 보임: 소피스트 전통과 소크라테스
4. 안틸로기아: 파르메니데스적-소피스트적 담론 전통
맺음말 즐김의 세상을 꿈꾸며
감사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