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혼군, 명군, 폭군
  • 혼군, 명군, 폭군

    발행연도 - 2016 / 지음: 강붕 ; 옮김: 김영진 / 왕의서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79663
    • ISBN 9791186615188
    • 형태 519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중국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동양사 > 중국사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중국의 최대 방송사(중국중앙텔레비전, CCTV)의 인문 강연 프로그램인 <백가강단>에서 일약 화제가 된 한무제에 관한 30개 강연이 책으로 정리됐다. 한국에서도 유명세를 치르는 이중톈, 왕리췬 등의 학자 출신 스타도 이 프로그램 출신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저자 서언 - 무엇 때문에 한무제는 세 얼굴의 제왕으로 그려지나?

제1강 제왕帝王의 면모
한무제漢武帝에 관한 서로 다른 평가
하나의 스토리, 세 가지 견해
《사기》, 《한서》 그리고 《자치통감》과 한무제
왜 한무제인가?

제2강 제후諸侯를 정리하다
분봉과 군현제의 모순
7국의 난이 한무제의 통치에 남긴 영향
한무제 통치 초기, 제후국에 관한 처리
회남왕淮南王 모반 사건

제3강 회남淮南의 원통한 사건
유안劉安의 모반
앞뒤가 안 맞는 하나의 내막
유안의 모반 동기
《자치통감》의 건원 6년
유안을 타격한 진짜 이유

제4강 대협大俠의 죽음
《자치통감》에 있는 하나의 기현상
유협 무리와 그 특징
한무제 안중의 곽해
역사가들의 유협에 대한 다른 의견

제5강 오직 유술儒術을 숭상하다(독존유술)
한 가지 상식에 관한 논쟁
통치 사상과 궁정정치
유학과 황로학파의 첫 번째 교전
한무제가 친정親政한 후의 선택
세 역사학자의 ‘독존유술獨尊儒術’에 대한 의견

제6강 진짜와 거짓 유학
격식에 구애받지 않는 인재 선발
한무제가 공손홍을 임용한 이유
진짜와 거짓 유학
세 사학자의 다른 견해

제7강 승상의 운명
공손하公孫夏, 승상을 거절하다
석경石經과 원봉元封 연간에 발생한 유민
유민 사건의 책임
세 사학자의 다른 표현
한무제 통치하의 승상

제8강 장탕張湯의 승진과 좌천
도굴사건이 부른 정치투쟁
장탕과 장청적의 죽음
장탕의 정해진 배역
장탕과 한무제
황권의 도구, 혹리

제9강 혹리, 요직을 차지하다
피비린내 나는 태평성대
혹리酷吏 풍조의 출현
혹리들의 특징
순리循吏의 공석
내정과 외교

제10강 사방으로 출격하다
한무제 때의 급격한 변화
한무제 초기의 대외활동
한무제의 영토 확장
한무제 업적에 관한 세 사학자의 다른 견해

제11강 마읍馬邑의 계책이 실패하다
평성平城의 포위와 한나라의 굴욕
마읍馬邑의 계략
왕회王恢의 죽음
누가 총사령관이었던가?

제12강 위청과 곽거병의 전공과 업적
위청衛靑의 전기
대장군의 탄생
표기장군驃騎將軍
장군 별의 추락

제13강 외숙과 생질의 색다른 취향
위청과 곽거병의 성격 차이
위청과 곽거병의 공통점
위청과 곽거병이 중용된 이유

제14강 제후로 봉해지지 못한 이광李廣
‘비장군飛將軍’ 이광
이광의 죽음
이광과 위청의 비교
이광이 제후로 봉해지기 어려웠던 까닭

제15강 서역에 사신을 보내다
머나먼 서역
장건張騫, 서역에 사신으로 가다
서역에 다시 사신으로 가다
한무제의 서역 경영
역사가들의 다른 평론

제16강 한혈보마汗血寶馬를 얻다
신마神馬가 서북쪽으로부터 오리라
사신을 보내 말을 구하다
이사貳師 장군
다시 대완을 정벌하다
사학자들의 대완 정벌 평가

제17강 재정위기
재정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다
재정정책의 선회
정책이 시행된 후
사학가들의 다른 서술

제18강 복식卜式, 한무제의 꼭두각시
복식卜式, 한무제를 지지하다
총애를 잃다
복식과 한무제 관계에 대한 세 가지 서술
한무제, 공사公私 재정을 혼동하다

제19강 사공史公, 굴욕적인 형벌을 받다
이릉 사건과 사마천의 형벌
이릉 사건이 《사기》 편찬에 준 영향
세 역사서에 묘사된 이릉 사건의 차별점
세 역사가의 견해를 어떻게 생각하나?

제20강 인재의 모집과 등용
‘골계滑稽’ 동방삭東方朔
동방삭과 한무제의 용인 책략
세 역사서에 기록된 동방삭
한무제가 등용한 사람들
사마천의 직접 체험담
사마광, 두 측면에서 관찰하고 생각하다

제21강 신선을 찾아 나서다
이소군李少君 이야기
한무제의 방사方士들
세 사학자의 다른 견해

제22강 봉선封禪의 전주
상서로운 조짐이 잇달아 출현하다
연호年號의 탄생
상서로운 징조와 봉선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유서遺書
세 사학자의 평론

제23강 봉선대전封禪大典
진시황과 한무제가 거행한 봉선封禪 의식
황제黃帝가 신선이 된 전설
태산에서 봉선 의식을 거행하다
사마담司馬談의 죽음
세 사학자의 다른 서술

제24강 무고巫蠱의 화가 일어나다
무당의 활약
진황후陳皇后 사건
두 공손씨公孫氏의 죽음
이들 사건의 본질에 대한 세 사학자의 다른 견해

제25강 부자지간
유거劉据의 탄생
한무제와 위자부
한무제와 유거
‘요모문堯母門’ 사건
세 사학자의 다른 서술

제26강 예견된 분쟁
부자지간의 틈
강충江充의 모함
태자, 반란을 일으키다
세 사학자의 다른 기록

제27강 사마천, 절필絶筆하다
무고지화의 후속
사공史公의 절필絶筆
《자치통감》의 단서
《한서》의 특징
무고의 사건에 대한 총 결말

제28장 자신을 책망하는 조서詔書
한무제 만년에 닥친 문제
윤대輪臺에서 자기 죄를 책망하다 태자를 잘못 판결한 것을 시정하다
국책의 개정과 태자 사건의 관계 역사학자들의 다른 분석

제29강 임종 때 어린 자식을 부탁하다
새로운 태자
유불릉을 태자로 선택한 이유
태자의 생모를 죽이다
고명대신顧命大臣
사학자들의 평가

제30강 공적과 과실에 대한 시비是非
무엇 때문에 한무제는 세 가지 면모를 가졌다고 하는가?
한무제의 내정內政 성적
한무제가 중국 판도에 끼친 공헌
세 사학자에 비친 미신과 신선 숭배

역자의 글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진시황 강의 진시황 강의 2013 / 지은이: 왕리췬 ; 옮긴이: 홍순도 ; 홍광훈 / 김영사
진시황제의 무덤  : 진시황릉의 지하군단, 지하궁전을 찾아서 진시황제의 무덤 : 진시황릉의 지하군단, 지하궁전을 찾아서 2008 / 웨난 지음 ; 허유영 옮김 / 크림슨
진시황릉 : 중국 고대사의 불가사의 진시황릉 : 중국 고대사의 불가사의 1998 / 위에 난 지음 ; 유소영 옮김 / 일빛
진시황릉 : 중국 고대사의 불가사의 진시황릉 : 중국 고대사의 불가사의 1998 / 위에 난 지음 ; 유소영 옮김 / 일빛
제국의 빛과 그늘 제국의 빛과 그늘 2012 / 장점민 지음 ; 김영수 편역 / 역사의아침
진시황 평전  = Qun shi huang biography  : 철저하게 역사적으로 본 제국과 영웅의 흥망 진시황 평전 = Qun shi huang biography : 철저하게 역사적으로 본 제국과 영웅의 흥망 2011 / 장펀톈 지음 ; 이재훈 옮김 / 글항아리
이사, 천하의 경영자 : 진시황을 지배한 재상. 上 이사, 천하의 경영자 : 진시황을 지배한 재상. 上 2008 / 차오성 지음 ; 강경이 옮김 / 바다출판사
혼군, 명군, 폭군 혼군, 명군, 폭군 2016 / 지음: 강붕 ; 옮김: 김영진 / 왕의서재
한나라 역대 황제 평전: 외척과 환관의 국정 농단으로 400년 제국이 무너지다 한나라 역대 황제 평전: 외척과 환관의 국정 농단으로 400년 제국이 무너지다 2022 / 지음: 강정만 / 주류성(주류성출판사)
자연재해와 유교국가 : 漢代의 災害와 荒政 硏究 자연재해와 유교국가 : 漢代의 災害와 荒政 硏究 2006 / 김석우 지음 / 일조각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1, 진시황과 이사 고독한 권력. 1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1, 진시황과 이사 고독한 권력. 1 2010 / 김태권 글·그림 / 비아북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1, 진시황과 이사 고독한 권력. 1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1, 진시황과 이사 고독한 권력. 1 2010 / 김태권 글·그림 / 비아북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1, 진시황과 이사 고독한 권력. 1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1, 진시황과 이사 고독한 권력. 1 2010 / 김태권 글·그림 / 비아북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2, 항우와 유방 - 제국의 붕괴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2, 항우와 유방 - 제국의 붕괴 2010 / 김태권 글·그림 / 비아북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2, 항우와 유방 - 제국의 붕괴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02, 항우와 유방 - 제국의 붕괴 2010 / 김태권 글·그림 / 비아북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빈 배처럼 텅 비어  : 최승자 시집 빈 배처럼 텅 비어 : 최승자 시집 2016 / 최승자 / 문학과지성사
복종 : 미셸 우엘벡 장편소설 복종 : 미셸 우엘벡 장편소설 2015 / 지음: 미셸 우엘벡 ; 옮김: 장소미 / 문학동네
빅 브러더 : 라이오넬 슈라이버 장편소설 빅 브러더 : 라이오넬 슈라이버 장편소설 2015 / 지음: 라이오넬 슈라이버, 옮김: 박아람 / RHK
(All New)미드영어 표현사전 = American drama expressions. [3], Q-Z (All New)미드영어 표현사전 = American drama expressions. [3], Q-Z 2015 / E&C, 서성덕 [공]지음 / Mentors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지도로 읽는다)삼국지 100년 도감 (지도로 읽는다)삼국지 100년 도감 2018 / 지음: 바운드, 옮김: 전경아, 감수: 미츠다 다카시 / 이다미디어
(한 권으로 읽는) 자치통감  : [이북 E-book] (한 권으로 읽는) 자치통감 : [이북 E-book] 2019 / 사마광 지음 ; 푸챵 편역 ; 나진희 옮김 / 현대지성
진시황 강의 진시황 강의 2013 / 왕리췬 지음 ; 홍순도, 홍광훈 [공]옮김 / 김영사
중국인 이야기. 1 중국인 이야기. 1 2012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중국인 이야기. 2 중국인 이야기. 2 2013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이중톈 중국사. 07, 진시황의 천하 이중톈 중국사. 07, 진시황의 천하 2015 / 지음: 이중톈, 옮김: 김택규 / 글항아리
춘추전국이야기. 10, 진나라의 천하통일 춘추전국이야기. 10, 진나라의 천하통일 2017 / 지음: 공원국 / 위즈덤하우스
중국인 이야기. 7 중국인 이야기. 7 2019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사마천의 마음으로 읽는 『사기』 사마천의 마음으로 읽는 『사기』 2018 / 지음: 이승수 / 돌베개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1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1 2014 / 신동준 지음 / 을유문화사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2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2 2014 / 지음: 신동준 / 을유문화사
중국인 이야기. 3 중국인 이야기. 3 2014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2014 / 아이리스 장 지음 ; 윤지환 옮김 / 미다스북스
이중톈 중국사. 11, 위진풍도 이중톈 중국사. 11, 위진풍도 2018 / 지음: 이중톈, 옮김: 김택규 / 글항아리
춘추전국이야기. 8, 합종연횡 춘추전국이야기. 8, 합종연횡 2017 / 지음: 공원국 / 위즈덤하우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