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옮긴이 해제
추천사
1 서론
아시리아 동방교회 약사
종교적 영성
‘네스토리안’이라는 용어
2 동방교회의 기원
유프라테스 강 양안 지역의 정치·종교 상황
유프라테스 강을 건넌 기독교
인도 남부의 도마 기독교인들
3 다양성에서 단일성으로: 교부들과 이단자들
삼위일체 개념과 그리스도 본성 문제
로마제국의 국교가 된 기독교
동방교회의 신학적 기초
네스토리우스와 에베소 공의회
4 보편성을 상실한 기독교
칼케돈 공의회
비잔티움제국 내부의 신앙논쟁과 동방교회에 끼친 영향
시리아교회들을 하나로 묶은 『페시타』 성경
5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총대주교구
사산조페르시아 초기의 정치·종교 상황
사산조페르시아 때의 조로아스터교
한 세기 넘게(340~457) 지속된 순교와 처음 만들어진 교회계급제도
동방교회 조직
독립을 선언한 동방교회
복합단성론자와의 논쟁
450~650년 동방교회에 닥친 위기와 쇄신
시리아정교회의 대두
6 동방교회의 신학과 영성
조로아스터교·마니교와의 싸움
성선설과 원죄
두 번째 아담인 예수 그리스도, 생명나무와 부활의 십자가
동방교회의 성례전
교회건축과 예배―공간과 시간 속의 상징들
수도원제도와 금욕주의
동방교회 신비주의의 귀감, 달리아타의 요한
7 무슬림 치하의 기독교인들
페르시아 만과 아라비아의 기독교인들
관용과 억압 사이에 끼게 된 기독교인들
동방교회의 전성기: 총대주교 디모데 1세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고대 유산의 보존
동방교회와 이슬람
동방교회는 우상을 반대하는가?
8 동방선교
중앙아시아 비단길을 따라간 동방교회
알로펜 주교가 경교를 중국에 전하다
불교·도교와의 대화
9 몽골인들의 시대
샤머니즘과 종교혼합주의
기독교 부족들
몽골에 찾아온 가톨릭교회 수사들
몽골의 동방교회 교인 왕비들과 고위 관리들
십자가와 연꽃: 중국 동해안에서 발견된 기독교와 불교 상징물의 합성
몽골 일칸들 치하에서 맞은 이란 지역에서의 마지막 융성기
몽골 일한국과 유럽의 동맹 기회
라반 사우마와 라반 마르코스―아시아에서 온 동방교회의 ‘마르코 폴로들’
티무르가 저지른 파괴와 산악지대로의 피난
10 인도 남부의 도마 기독교인들
말라바르 해안의 동방교회 공동체
가톨릭교회로 강제 개종당한 동방교회 교인들
도마 기독교인들의 봉기
인도 동방교회의 재건
11 시련과 분열의 시대
칼데아교회의 성립
총대주교들과 대립 총대주교들
20세기까지 오스만제국의 정치 상황과 칼데아 가톨릭교회
가톨릭교회·러시아정교회·개혁교회의 선교사들
1915~1918년의 집단학살
짓밟힌 희망
동방교회의 붕괴 원인
12 아시리아 동방교회의 르네상스
망명지에 다시 세운 교회
21세기의 아시리아인들: 전망
동방교회의 정체성
세계 기독교의 통일을 위한 대화
동방교회와 그 신학의 타당성
주
참고문헌
부록
자료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