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살펴보는 중국 도시의 다채로운 면면. 도시는 역사 문화가 펼쳐지는 커다란 무대이자 역사 문화의 메신저다. 이 책은 다채로운 중국 고대 도시의 면면을 펼쳐 보이면서 그 전체적인 윤곽을 체계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목차
제1강 다양한 고대 도시: 도시의 유형 도성 | 행정과 군사의 중심이었던 지역 도시 | 상업도시 | 수공업도시 | 항구도시 | 방위도시 | 다양한 형태의 도시 | 지형의 특징과 도시
제2강 도시의 명칭 고대 도시를 나타내던 고유 명칭 | 지리적 특징으로 생겨난 명칭 | 소망이 반영된 도시 명칭 | 행정구역에 따라 명명된 도시 | 전고로 인해 명명된 도시 | 여러 곳이 합병되어 생겨난 도시 명칭 | 한역을 통해 생겨난 소수민족의 도시 명칭 | 착오로 인해 생겨난 지명 | 제왕과 관련된 도시 명칭 | 작은 마을의 이름이 도시 이름이 된 경우 | 한 성이 여러 명칭을 가진 경우, 한 명칭이 여러 성을 가리키는 경우 | 도시의 약칭과 아칭
제3강 고대 도시계획의 걸작: 수·당 장안 장안성 건설의 역사적 배경 | 장안성의 건설과 기획 | 세계에서 가장 큰 도 시 | 거주구역: 엄격히 관리된 폐쇄적인 이방 | 바둑판 도로 시스템과 초대형 길 | 집중 배치된 동시와 서시 | 수·당 장안의 원림 | 당나라 장안의 파괴 및 그 후의 변화 | 당나라 장안성은 어떻게 기획되었나 | 당나라 장안성의 국제적 지위와 영향
제4강 번화한 도성: 송대의 동경성 도시의 역사적 변천 | 도시의 개축과 증축 | 삼중으로 이루어진 성: 도시의 배치 | 100만 명이 넘는 인구 규모와 시민 계층의 증가 | 거주구역의 변화: 방장이 무너지다 | 번영한 상업도시 | 도로 교통과 녹화 | 행정기구, 관영 수공업, 문화기구
제5강 세기의 명성: 원나라 대도에서 명·청의 북경성까지 원나라 대도의 지리·역사적 환경 | 원나라 대도의 건설 | 원나라 대도성의 배치 | 대도의 도로·방·시·관청 | 원나라 대도 도시계획의 특징 | 명나라 북경성의 건설 | 명·청 북경성의 중심축 배치 및 도시 경관 | 북경성의 도로와 시장 | 북경성의 거주지역과 문화 | 북경성 역사 문화의 보호
제6강 고대의 대항구: 천주의 흥성과 쇠락 항구도시로 흥성하게 된 국내적 요인 | 천주의 흥성과 쇠락, 그 국제적 요인 | 천주 지역의 개발과 도시의 발전 | 천주를 ‘자동성’이라고 부르는 이유 | 천주항의 특징 | 외국인 거류지: 번방
제7강 소주와 [평강도] 번영한 수향 도시 | 도시의 건설과 공간 배치 | 성벽과 성문 | 수로와 도로 와 골목 | 이방과 시장 | 종교 건축 | 소주 원림 | [평강도]
제8강 평요
제9강 세계문화유산 여강 빼어난 산수: 고성의 참모습 | 높은 산과 흐르는 물이 빚어낸 아름다운 경치 | 사방가와 나시족 민가 | 나시족의 집, 여행자의 숙소 | 동파 문화가 가득 담긴 고원의 평원 ‘파자’ | 여강의 미래: 수호해야 할 마지막 정토
제10강 강남의 수향 마을 밀집된 마을 | 물길과 수항 | 하망과 가항 | 수향의 물 | 수향의 다리 | 수향의 건축 | 수향의 생활
제11강 도시의 거주구역 이방 여리와 이방 | 가항과 가방 | 지역 특색을 띤 거주용 건축
제12강 고대 도시의 시장 도시 내 시장의 탄생 | 집중 관리된 시장 | 송대 도시 시장의 변화 | 때에 맞춰 서는 장, 집시와 묘회 | 상방·회관·표호·거간꾼
제13강 중국 고대 도시의 도로 시스템
제14강 도시의 사원과 사당 종교적 성격을 띤 사원 | 도교 사원 | 불교 사원 | 이슬람교 청진사와 능묘 | 기타 종교 |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