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15년에 출간한 <서술이론 1>에 이은 완역판이다. 시, 소설, 드라마 등과 같은 문학일반을 포함하여 영화, 오페라, 음악, 무용, 퍼포먼스, 디지털, 법, 성서 등의 광범위한 사회, 문화 영역들을 아우르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서문 - 최근 서술이론의 전통과 혁신(제임스 펠란James Phelan&피터 라비노비츠Peter J. Rabinowitz)
3부 | 서술형식, 그리고 역사, 정치학, 윤리학과의 관계
장르와 반복과 시간적 질서 - 성서 서술론의 몇 가지 측면들(데이빗 리히터David H. Richter)
왜 우리의 용어들이 머물러 있지 않으려 할까? - 검토되고 역사화된 서술 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해리 쇼Harry E. Shaw)
서술이론의 젠더와 역사 - 『데이빗 카퍼필드』와 『황폐한 집』의 회상적 거리의 문제(앨리슨 케이스Alison Case)
서술판단과 서술의 수사학적 이론 - 이언 매큐언의 『속죄』(제임스 펠란James Phelan)
러쉬모어 산의 변화하는 얼굴들 - 집합적 초상화와 참여된 국가 유산(앨리슨 부스Alison Booth)
자서전의 곤혹스러움 - 서술 이론가를 위한 조언 노트(시도니 스미스Sidonie Smith&줄리아 왓슨Julia Watson)
포스트콜로니얼 서술론(제럴드 프린스Gerald Prince)
모더니즘의 소리풍경과 지적인 귀 - 청각적 지각을 통하여 서술에 접근하기(멜바 커디-킨Melba Cuddy-Keane)
두 목소리, 또는 - 결국 누구의 삶이고 죽음이고 이야기인가?(쉴로미스 리몬-케넌Shlomith Rimmon-Kenan)
4부 | 문학적 서술을 넘어서
법에서의 서술과 법의 서술(피터 브룩스Peter Brooks)
이차적 자연, 영화적 서술, 역사적 주체 그리고 [러시안 아크](알란 나델Alan Nadel)
끝을 이야기하기 - Hutcheon죽음과 오페라(린다 허천Linda Hutcheon&마이클 허천Michael)
음악과 영화-서술, 영화-서술로서의 음악, 또는 - ‘이것은 주악상, 그 이상의 것이다’(로얄 브라운Royal S. Brown)
고전적 기악 음악과 서술(프레드 에버렛 마우스Fred Everett Maus)
“나는 스파르타쿠스다!”(캐서린 군터 코닷Catherine Gunther Kodat)
퍼포먼스 예술사의 파편들 - 희미하게, 렌즈에 비친 폴록과 나무스(페기 펠란Peggy Phelan)
에필로그
서술과 디지털적인 것 - 매체와 더불어 생각하는 법을 배우기(마리-로르 리안Marie-Laure Ryan)
모든 서술적 미래들의 미래(포터 애보트H. Porter Abbott)
어휘록
참고문헌
용어 색인
작품 색인
인명 색인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