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 그날의 감동, 천재 소년 오주영의 탁월한 예술 영감!
내가 아는 바이올리니스트 오주영
책머리에
경상남도 진주에서 뉴욕필하모닉 종신단원이 되기까지
1악장 바이올린과 함께 자란 어린 시절
엄마 배 속에서부터 바이올린 소리를 듣다
변칙적인 레슨을 시도하다
카세트테이프와 비디오테이프로 하는 바이올린 교육
첫 미국 여행에서 만난 바이올린 교수들
생전 처음 참가한 국제 음악 캠프 콩쿠르에서 우승하다
예기치 않았던 또 다른 행운의 만남
전국적으로 매스컴을 타다
생애 첫 독주회를 가지다
첫 미국 데뷔를 2,700석 대형 무대에서 하다
한국인의 날 산호세심포니오케스트라 오주영 초청 연주회
“너는 어디서 왔니?”
줄리아드학교 강효 교수와의 운명적 만남
줄리아드학교로 조기 유학을 떠나다
2악장 청소년기 오주영의 음악적 성장
너는 오직 바이올린만 연습해라
열네 살, 최연소로 YCA에서 우승하다
꿈에 그리던 스트라디바리우스로 KBS교향악단과의 첫 협연
고향 진주에서 열린 금의환향 콘서트
거장 주빈 메타를 만나다
삼성문화재단으로부터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대여받다
베를린에서의 오주영 독주회
“아빠, 바이올린이고 학교 공부고 아무것도 못 하겠어요!”
‘아시안의 꿈’, 일본 초청 연주회
인상 깊었던 로스앤젤레스 데뷔 연주회
사춘기,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인생의 고비
YCA와의 갈등
2000년, KBS교향악단과의 협연 및 LA필하모닉과의 협연
도로시 딜레이 교수와의 만남
3악장 줄리아드학교에서 보낸 시절
오주영, 줄리아드학교 음대생이 되다
악조건 속에서 CD를 녹음하다
기숙사에서 다시 집으로 돌아오다
연주회는 계속된다
부산시향 협연에서 있었던 일
프랑스 연주회 때의 에피소드
조수미와의 콘서트
카네기홀 데뷔 콘서트
첫 한국 투어 독주회
딜레이 교수의 죽음으로 크게 좌절하다
휴학과 함께 연주회에 매진하다
복학, 그리고 강효 교수와 9년 만에 이별하다
줄리아드학교 콩쿠르에서 예기치 못했던 결과를 얻다
콜로라도심포니와의 협연을 통해 본 연주회 기획 방법
줄리아드학교 대학원 과정에 진학하다
자카르 브론 교수를 만나다
4악장 독일에서의 공부와 연주 활동
주영이는 독일에서, 우리 부부는 덴버에서
독일에서도 연주회는 계속되다
NFMC 주최 ‘영 아티스트 콩쿠르’에 출전하다
드디어, 런던 위그모어홀에 서다
서울시향 그리고 KBS교향악단과의 협연을 다시 추진하다
아찔했던 순간들
미국에서 만들고 싶었던 두 개의 연주회
오주영 후원 협약식과 한국예술비평가협회 글로벌 아티스트 대상 수상
부산에서 만난 백재진 교수
음악도 비즈니스다
끊임없이 대두되는 악기 문제
5악장 뉴욕필하모닉과 맺은 인연
대학원에서 만난 운명의 교수, 글랜 딕터로
뉴욕필하모닉 오디션에 합격하다
1년 6개월의 테스트 기간을 통과해야 정식 단원이 된다
쉽지 않은 짝 찾기
다시, 카네기홀에 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