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과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생각과 정체성을 특징짓는 것 중의 하나가 축적이다. 축적은 기본적으로 기록을 통해서 가능하다. 구술자료, 일기, 문서 등을 통해서 기억을 기록하고, 경험을 공유하며, 지식을 체계화하고, 특정 방법을 익힐 수가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1장 토픽모델링 기법을 통한 텍스트마이닝과 일기자료연구-남춘호·유승환
1. 서론/ 2. 토픽모델링이란 무엇인가?/ 3. 아포일기 토픽분석/ 4. 결론
2장 『아포일기』에 나타난 농민의 정치참여의 특징- 손현주·진정원
1. 들어가는 말/ 2. 정치참여에 대한 접근/ 3. 권순덕의 정치적 인식과 가치/ 4. 권순덕의 정치참여 활동에 관한 특징/ 5. 결론: 정치에 대한 다중적 시선과 포획된 참여민주주의
3장 농민의 풍우인식과 지식의 혼종성: 『평택 대곡일기』- 안승택
1. 기점, 지평, 방향과 범주들/ 2. 전통과학지식에서 민속지식으로, 또 역으로/ 3. 민속지식들 사이에서, 아스라한 시공간적 전개/
4. 근대과학지식과 민속지식의 유전(流轉) 그리고 실행지식의 동역학/ 5. 요약, 한계, 몇몇 의의들
4장 농민공 일기에 나타난 중국의 압축성장: 포섭과 배제의 논리- 朴光星·이정덕·이태훈
1. “성세”(盛世)의 대서사 속에 파묻힌 “민초”(民草)의 소서사를 파헤치기/ 2. 귀중한 소서사: 지톄젠(姬鐵見)의 『한 농민공의 생존일기』/ 3. 압축적 성장의 또 다른 ‘얼굴’: 농민공의 생활세계/ 4. 압축적 성장 과정 속의 포섭과 배제의 논리/
5. 묻힌 “소서사”를 주목받는 “성찰적 서사”로 전환하기
5장 일본에서의 ‘생활’의 전쟁, ‘생활’의 전후: ‘생활이 운동이 된 시대- 마츠다 시노부
1. 들어가며/ 2. 잡지 『생활』의 창간/ 3. 신흥생활운동의 목표/ 4. 1939년의 사토신흥생활관 개혁과 그 원인/ 5. 생활운동의 변화를 사람들은 어떻게 받아들였는가/ 6. 전후에의 전망/ 7. 나오며
6장베트남의 압축성장 속의 장인: 기억과 경험- 안 투 짜
7장 이케다 고진의 문서와 대만 총독부 전매국 공문서를 통해 본 소금 전매- 鍾淑敏
1. 들어가는 말/ 2. 범죄 사실/ 3. 전매국 내부의 대응/ 4. 기유된 구셴룽(辜顯榮)/ 5. 나오는 말
색인/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