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살림 20년사를 다시 펴내며
책을 펴내며
1부 한살림, 시대의 문을 열다
쌀가게 한살림
시대의 변화 속에서
쌀집 풍경
생명이란 시대정신과 협동이란 가치의 만남
한살림운동의 전사 前事
재해대책위원회와 협동운동
생명과 공동체에 대한 각성으로
협동운동과 농민운동의 차원 변화
2부 살림의 길
생활공동체, 사회적 살림의 주체
매주 열리는 마을잔치, 공동체 공급
한혜석 주부의 한살림 일기
동네 살림의 거점, 지소의 운영
콩 세 알의 의미 ― 농업 살림의 길
생산자와 소비자의 교류와 연대
되살아난 대동세상
한살림을 선언하다
생명에 대한 각성, 한살림선언
장일순, 김지하, 한살림을 선언한 사람들
생명문화운동의 실천 그리고 좌절
한살림운동, 지역과 만나다
한살림의 뿌리, 원주 그리고 강릉
경남한살림과 우리밀살리기 운동의 출발
광주와 청주의 생명운동과 한살림
『녹색평론』과 대구한살림
확장되는 생명운동
조합의 성장, 조합원의 성장
물품 확대, 물품을 통한 생태적 실천
우리밀살리기 운동과 산지 가공
진통
협동농장 실험, 흙공동체의 좌절
한살림생산자협의회의 해체
또 다른 갈등의 폭발
3부 현실에 뿌리내리기
새 출발
생활협동조합에서 사단법인으로
실무자 주체의 형성
농업의 위기와 농업 살림 연대
또 다른 농업 살림의 길
환경농업단체연합회와 환경농업육성법 제정
농업 살림 동북아 연대
지역모임과 물살림 그리고 자주관리 매장
동네 살림 모임에서 지역모임으로
비누운동, 물살림으로
공동체의 둔화와 매장의 성장
사업 시스템의 정립
물류센터 준공
사업체계의 정비
4부 직거래의 생산자와 소비자
얼굴과 얼굴이 보이는 관계
여성 생산자 연수
유기농산물 직거래의 생산자
유기농산물 직거래의 소비자
활동지부와 회원 주체성의 확립
농업 살림의 구상과 실천
지역농업의 단초
한살림 농업정책과 물품정책
지역농업의 가능성을 찾아서
사회와 만남
5부 사회 속으로, 지역 속으로
도약
거리로, 사람들 속으로
성장의 뒤안
인력 충원과 조건 정비
통합과 분화
새로운 지역조직 결성과 지역 분화
물류사업연합의 탄생
운동적 구심력 정비
생산자모임 재결성
한살림의 정체성과 지역이라는 화두
명태 논쟁과 한살림
한살림의 정체성
인적자원 재구성과 자율적 지역 시스템 모색
지역농업을 통한 지역의 창조
지역자치와 지역생명운동
생명과 평화의 길을 찾아서
격동하는 세계, 재해와 전쟁 속에서
생명과 평화의 길
스무 살 한살림 세상을 껴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