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문화사에서 ‘소녀’가 탄생하고 소녀성의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 그리고 대중문화 속에서 소녀의 육체와 성에 대한 남성 중심적 판타지가 생산.유통.소비되는 과정을 계보학적으로 밝힌 책이다.
목차
저자의 말
프롤로그 소녀, 유청년문화 그리고 페미니즘
제1장 현대 정보기술사회와 상업주의 B급문화의 부상 현대 정보기술사회와 소비문화의 특성 B급문화와 획일적 상업자본주의 이념의 문제 B급문화와 여성의 육체와 성의 대중문화적 소비 B급문화와 소녀의 육체와 성의 대중문화적 소비 대중문화 속 소녀의 표상에 대한 계보학적 접근법
제2장 근대 소녀의 탄생과 잉여적 존재성 근대 소년의 탄생과 남성 중심적 소년문화담론 근대 소녀의 우발적 탄생과 잉여적 존재성
제3장 순진열렬한 소녀의 탄생과 진정한 소녀성의 신화 일본의 신여성 여학생 소녀와 ‘모단 갸루モダンガ–ル’의 정체성 근대 조선사회의 모단 걸 직업여성 소녀의 정체성 순진열렬한 소녀의 탄생 구식 여자 박영채 순진열렬한 소녀의 성장 「박색고개」의 춘향 순진열렬한 소녀의 완성 『소나기』의 서울 소녀
제4장 순진열렬한 소녀의 병리적 징후와 원귀적 존재 양식 장화와 홍련의 차마 말할 수 없었던 고통 장화 홍련의 딸들과 「여고괴담」
제5장 현대 명랑 소녀의 탄생과 육체 없는 몸의 존재 양식 소녀의 육체와 인권의 문제 대한민국의 평균 소녀 이옥림의 비애 가부장의 중성 소녀 판타지 명랑 소녀 차양순의 비애 국민 여동생의 감옥 예인 소녀 문근영의 비애 소녀의 육체와 정치의식 반항 소녀 소희의 비애
제6장 아이돌 소녀 상품의 기획과 소녀의 소외 소녀시대와 오빠 판타지 섹시한 백치미 소녀와 오빠 판타지
제7장 소녀 되기와 소녀 문화의 가능성 제3세대 여성주의와 분노하는 소녀 「소위 내 인생이란 것My So Called Life」과 미국의 분노하는 소녀 쇼넨 나이프少年ナイフ와 일본의 분노하는 소녀 이효리와 한국의 분노하는 소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