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당대의 시가 작품 중에서도 자연을 소재로 창작된 시에 대한 집중적 연구 성과를 담은 책이다. 중국 고전시에서의 자연 개념, 자연시의 창작 심리, 자연시의 의미와 발전 과정 뿐만 아니라 당대 자연시에 대한 역대의 평가와 당대 자연시가 후대에 끼친 영향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自然詩 창작의 의미와 발생 과정
1. 중국 고전 시론에서의 ‘自然’ 개념
(1) 중국 고전 시론에서 바라본 ‘自然’의 개념
(2) 중국 고전 시론에서 이루어진 ‘自然’ 논의의 발전 양상
2. 中國 自然詩의 창작 심리
(1) 자연미에 대한 경도
(2) 자아의 발견과 정신적 해탈의 도모
(3) 자연 속에서 자유의 추구
(4) 자연미 묘사를 통한 창작 의식 고양
3. 自然詩의 의미와 발생 과정
(1) 자연시의 의미
(2) 자연시와 儒道佛 사상과의 관계
1) 자연시와 儒家思想
2) 자연시와 道家思想
3) 자연시와 佛家思想
(3) 자연시의 발전 과정
제2장 唐代 詩歌史에 나타난 自然詩 창작의 흐름
1. 唐代 자연시 개관
2. 初唐의 자연시
(1) 初唐의 자연시 창작 배경
(2) 初唐의 자연시 작가들
1) 宮廷文人의 자연시:조탁과 기교의 발전
2) 非宮廷文人의 자연시:궁정 산수에서 대자연으로
3. 盛唐의 자연시
(1) 盛唐의 자연시 창작 배경
(2) 盛唐의 자연시 작가들
1) 吳中四士와 張說, 張九齡:優美한 강남 산수의 묘사
2) 孟浩然과 王維:산수 전원 묘사의 최고 경지
3) 儲光羲, 常建, 祖咏, 裵廸, 盧象, 綦毋潛, 丘爲, 薛據:淸澹詩派 시인들
4) 高適, 岑參, 王昌齡, 李頎, 崔顥:변새시파의 자연시
5) 李白과 杜甫의 자연시:大家의 산수 묘사
4. 中唐의 자연시
(1) 中唐의 자연시 창작 배경
(2) 中唐의 자연시 작가들
1) 大曆十才子의 자연시:수려한 자연 묘사 속에 담은 개인의 서정
2) 劉長卿, 張繼, 李嘉祐, 韋應物, 柳宗元:中唐 자연시의 새로운 의경 창출
3) 元結, 白居易, 元槇, 張籍, 劉禹錫:사회시파 시인의 자연 묘사
4) 韓愈, 孟郊, 賈島, 姚合, 盧仝, 李賀:奇險派의 기교와 자연시의 결합
5 晩唐의 자연시
(1) 晩唐의 자연시 창작 배경
(2) 晩唐의 자연시 작가들
1) 杜牧, 李商隱:우국의 서정과 유미주의의 투영
2) 許渾, 張碧, 溫庭筠:개성적인 자연 묘사 수법 활용
3) 羅隱, 皮日休, 陸龜蒙, 杜荀鶴:자연 묘사 속에 담은 현실의 비애
4) 晩唐 은일시인들의 자연시:비애를 함유한 은거의 서정 묘사
제3장 唐代 自然詩의 평가와 영향
1. 唐代 自然詩에 대한 역대 평가
2. 唐代 自然詩의 후대에 대한 영향
참고서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