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지리교육학. 지리 교사에게는 지리학과 교육학이라는 두 학문의 관점이 모두 필요하다. 교육학의 주요 패러다임과 연결 지어 계통지리, 지역지리, 생활세계 지리를 각각 지리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등으로 세분하여 설명한다.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지리 교육의 기원과 3대 전통
제1부 시민성 전수와 지역지리 교육 제1장 한국 근대 지리 교육의 효시, 『사민필지』 제2장 목적:국민적 덕목으로서의 애국심과 지역지리 교육 제3장 내용:국토지리와 세계지리의 교육과정 제4장 시민성의 형식과 미국식 교육학의 성립 제5장 지역지리 교육의 새로운 방향
제2부 인지심리학과 계통지리 교육 제6장 인지심리학 도입의 배경 제7장 목적:지식 구조에 따른 인지 구조의 형성 제8장 내용:모학문의 탐구 논리와 나선형 교육과정 제9장 방법(1):교수학적 변환과 학습자 이해 제10장 방법(2):탐구와 의사 결정 학습
제3부 구성주의와 생활세계의 지리 교육 제11장 구성주의 도입의 배경 제12장 목적:장소감을 넘어 공감적 이해를 향하여 제13장 내용:사적 지리와 청소년의 생활세계 제14장 방법:내러티브를 활용한 학습 제15장 평가:대안적 평가관의 모색
제4부 포스트모더니즘과 지리교사론 제16장 포스트모더니즘 도입의 배경 제17장 목적:정체성 형성을 통한 교사 전문성 향상 제18장 내용:제3공간 접근을 통한 교실 이해 제19장 방법:공동체 참여를 통한 교사 역량 강화 제20장 평가:수업 비평을 통한 교육적 감식안의 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