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HY collection 시리즈 2권. 1990년 베를린장벽이 무너질 때까지 동독에서 문화정책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의 역할을 해왔던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동독의 문화정책, 나아가 그 시대의 사회상을 고찰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1 동독영화의 이데올로기
1.1 맑스주의와 레닌주의에서의 예술의 기능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1.2 맑스주의와 레닌주의에서의 영화의 기능
1.3 선전과 선동 수단으로서의 영화

2 동독영화의 정치성과 사회주의 영화
2.1 소비에트 강점기 시대의 영화(1945-1949)
2.1.1 데파의 창립과 나치즘 비판
2.1.2 반유대주의 비판영화의 시작
2.1.3 새로운 사회 건설 - 브레히트의 영향
2.2 동독의 건립과 사회주의 리얼리즘(1949-1962)
2.2.1 건국 초기의 괴테 숭배
2.2.2 영웅주의와 선전으로서의 유토피아
2.2.3 선동과 선전영화의 시작 - 정치성의 부각
2.2.4 새로운 삶의 정체성 - 예술영화의 경우
2.2.5 새로운 사회건설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시작
2.2.6 새로운 인간형의 구현
2.2.7 ‘새로운 진로’와 서독 및 외국영화의 영향
2.2.8 새로운 인간의 삶과 ‘긍정적인’ 영웅주의의 시작
2.2.9 ‘해빙기 시기’와 새로운 리얼리즘 - 베를린영화 3부작
2.2.10 자서전적 영화와 멜로드라마
2.2.11 시민적 데카당스 비판으로서의 수정사회주의
2.2.12 해빙기 시기의 영화에 대한 비판과 소련영화의 영향
2.2.13 제1차 비터펠트 노선과 수정사회주의
2.2.14 반유대주의 비판과 아우슈비츠의 역사적 이미지
2.3 영화문화에 대한 자의식의 발현기(1963-1970)
2.3.1 베를린장벽 건설과 현실비판
2.3.2 청년코뮈니케와 금지된 시민적 데카당스
2.3.3 예술적 지성의 구현과 사회주의와의 논쟁 - 1960년대 중반의 금지영화
2.3.4 삭벌총회 이후의 영화
2.4 실험영화와 일상적 리얼리즘(1971-1978)
2.4.1 새로운 시대의 실험영화와 새로운 이미지
2.4.2 TV영화로서 문학의 영화화
2.4.3 브레히트의 영향과 사회탈락자 영화와의 대립성
2.4.4 일상적 리얼리즘 - 제3세대의 영화
2.4.5 반파시즘영화와 반유대주의 비판
2.4.6 문학 및 예술적 소재의 ‘유산영화’ - 탈정치성과 탈역사성?
2.4.7 볼프 비어만의 국적박탈사건과 문화정책의 전환
2.5 영화의 국가화와 폐쇄된 사회를 넘어서(1979-1989)
2.5.1 영화의 국가화와 파시즘 비판
2.5.2 여성영화 또는 개인과 사회에 초점을 맞춘 사회비판적 영화
2.5.3 역사적 소재로 회귀한 반파시즘 영화
2.5.4 청소년영화 ㆍ 모험영화 또는 선전영화?
2.5.5 ‘빵과 유희’의 영화
2.5.6 폐쇄된 사회의 미학을 넘어서
2.5.7 다큐멘터리 영화와 비극의 극복 수단으로서 이미지 서사
2.5.8 동독의 몰락을 암시하는 영화
2.5.9 동독의 몰락과 ‘전환기 영화’의 시작

3 독일 통일 이후의 독일 담론
3.1 전환기 영화와 독일의 통일 담론
3.2 사회코미디영화
3.3 전환기 영화로서의 다큐멘터리 영화

참고문헌
출처
인명 색인
영화 색인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카프카 영화관에 가다 카프카 영화관에 가다 1997 / 한스 치쉴러 저 ; 이은희 역 / 영림카디널
카메라를 든 여전사 : 여성주의 영상역사와 여성주의 작가론 카메라를 든 여전사 : 여성주의 영상역사와 여성주의 작가론 2005 / 김연호...[등]지음 ; 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엮음 /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영화, 어떻게 쓸까? : 영화 읽고 글로 표현하기 영화, 어떻게 쓸까? : 영화 읽고 글로 표현하기 2011 / 티모시 코리건 지음 ; 이권 옮김 / 비즈앤비즈
코지마 히데오의 창작하는 유전자  : 내가 사랑한 밈meme들  코지마 히데오의 창작하는 유전자 : 내가 사랑한 밈meme들 2021 / 지음: 코지마 히데오 ; 옮김: 부윤아 / ,in(컴인)
영화,아나키스트의 상상력 영화,아나키스트의 상상력 2007 / 리처드 포튼 지음, 박현선 옮김 / 이후
세계 영화 100년사 세계 영화 100년사 1999 / 르네 프레달 저 ; 김희균 옮김 / 이론과실천
대사극장  : 한국영화를 만든 위대한 대사들  대사극장 : 한국영화를 만든 위대한 대사들 2024 / 지음: 프로파간다 편집부 / 프로파간다
동독 영화  : 생성과 붕괴,그리고 영향사 동독 영화 : 생성과 붕괴,그리고 영향사 2016 / 지음: 피종호 / 사곰
영화의 맨살 : 하스미 시게히코 영화비평선 영화의 맨살 : 하스미 시게히코 영화비평선 2015 / 지음: 하스미 시게히코 ; 옮김: 박창학 / 이모션북스
영화장화 영화장화 2018 / 지은이: 하스미 시게히코 ; 구로사와 기요시 ; 아오야마 신지 ; 옮긴이: 조정민 / 책읽는저녁
(하재봉의)시네마 클릭 (하재봉의)시네마 클릭 1999 / 하재봉 저 / 동인
한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이 있다 2023 / 지음: 이신영 [외] / 모랑
영화에 미친 사람은 아름답다 영화에 미친 사람은 아름답다 1998 / 한옥희 저 / 이웃사람
영화와 오페라 : 매혹의 아리아, 스크린에 흐르다 영화와 오페라 : 매혹의 아리아, 스크린에 흐르다 2008 / 한창호 지음 / 돌베개
보이지 않는 영화  = Unvisible film 보이지 않는 영화 = Unvisible film 2014 / 지은이: 허문영 / 강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스탠리 큐브릭 : 장르의 재발명 스탠리 큐브릭 : 장르의 재발명 2014 / 진 D. 필립스 엮음 ; 윤철희 옮김 / 마음산책
스페인 영화 :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 스페인 영화 :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 2014 / 임호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2013 / 주창규 지음 / 소명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 Boomerang Interview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 Boomerang Interview 2014 / 지음: 이동진 / 예담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 〈씨네21〉주성철 기자의 영화강상법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 〈씨네21〉주성철 기자의 영화강상법 2014 / 주성철 지음 / 소울메이트
지중해의 영화 지중해의 영화 2014 / 박은지 지음 / 산지니
그 영화 같이 볼래요 : 영화가 끝나고 시작된 진짜 영화 이야기, 시네마톡 그 영화 같이 볼래요 : 영화가 끝나고 시작된 진짜 영화 이야기, 시네마톡 2013 / 김영진 외 지음 ; 조인철 엮음 / 씨네21북스
탐욕과 생존 : 영화, 분쟁을 말하다 탐욕과 생존 : 영화, 분쟁을 말하다 2012 / 김용성 지음 / 책으로보는세상
조선영화의 탄생 조선영화의 탄생 2018 / 지음: 한상언 / 박이정
무비유환 : 영화에는 인생의 기쁨이 있다 무비유환 : 영화에는 인생의 기쁨이 있다 2017 / 지음: 이재익, 이승훈, 김훈종 / 박하
처음 만나는 영화: 내 영혼을 울린 문학텍스트로서의 영화 처음 만나는 영화: 내 영혼을 울린 문학텍스트로서의 영화 2017 / 지음: 김성곤 / RHK
길에서 어렴풋이 꿈을 꾸다 : 이동진의 영화풍경 길에서 어렴풋이 꿈을 꾸다 : 이동진의 영화풍경 2010 / 이동진 글·사진 / 예담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2016 / 지음:이화진 / 현실문화
장면으로 직접 보는 위대한 영화의 편집 문법 장면으로 직접 보는 위대한 영화의 편집 문법 2013 / 지음: 게일 챈들러 ; 옮김: 민경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로사와 아키라 자서전 비슷한 것 구로사와 아키라 자서전 비슷한 것 2014 / 지음: 구로사와 아키라 ; 옮김: 김경남 / 모비딕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