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천섬 연구총서 1권. 교동도는 강화도에서 불과 4~5km 떨어진 우리나라에서 14번째로 큰 섬이다. 그러나 남, 북 분단으로 1955년부터 민통선 북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그 지정학적 중요성이나 역사적 의미, 해양학적 중요성을 상실한 채 잊혀진 섬으로 오랫동안 외면받아 왔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교동도의 역사적 의미
교동도喬桐島에 대한 소개 / 최중기
1. 일반현황
2. 해안지형의 특성
3. 교동도 포구와 항로
4. 교동문화 보존 위원회 한기출 위원장과의 대담
5. 교동도의 유적과 관리상태
6. 교동도 방문 후기
교동도의 역사적 특성 / 이영호
1. 머리말
2. 교동도의 지리와 연혁
3. 교동도의 정치․군사적 기능
4. 교동도 사회의 형성과 근대적 전환
5. 맺음말
교동도 갯벌매립의 역사 / 배성수
1. 교동도의 지리적 환경
2. 간척의 배경
3. 고려시대, 간척이 시작되다
4. 간척기술의 발달과 간척지의 확장
5. 일제강점기 대규모 농장의 개발
6. 간척지의 안정적이고 집약적인 활용
교동도 근대역사: 한국전쟁과 전쟁이 남긴 것 / 김귀옥
1. 머리말
2. 열린 섬에서 닫힌 섬으로: 한국전쟁에 의해서 바뀐 교동도
3. 한국전쟁과 슬픈 섬, 교동도
4. 한국전쟁 이후의 교동도 사회의 변화
5. 맺음말
제2부 교동도의 문학과 종교
교동도의 누정시 / 이영태
1. 누정의 개념과 전개
2. 교동도 누정의 현황과 누정시
3. 결론
교동도의 개신교 전파와 수용 / 최인숙
1. 교동도와 감리교 12교회
2. 감리교의 교동도 전파 과정
3. 교동도에서의 감리교 전파
4. 교동도에서의 감리교 수용
5. 교동읍교회의 상룡리 이전
박두성, 세상의 빛이 된 사람 / 구본선
1. 박두성이 태어난 곳, 교동도
2. 박두성, 기독교로 개종하다
3. 박두성은 어디에서 공부를 했을까?
4. 이동휘와 만남, 보창학교 입학
5. 보통학교 교사 박두성(1906년~1913년)
6. 제생원 맹아부 교사 박두성이 훈맹정음을 반포하다
7. 육화사, 점자 통신교육을 실시하다
8.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인가? 맹인들을 위한 점자 성경을 만들자
제3부 교동도의 해양, 식물, 조류, 지리
교동도 주변 하구의 해양학적 특성 / 최중기
1. 서론
2. 교동도 주변의 해양특성
3. 교동도 주변 해역 생태환경과 생물상
4. 교동도 주변의 어업
5. 교동도의 포구
6. 강화조력발전
7. 결론
교동도의 조류 / 김대환
1. 교동도의 자연, 지리적 환경
2. 교동도의 조류-현지 조사
3. 교동도의 조류-문헌 조사
4. 고찰
교동도의 식생 / 송홍선
1. 서언-조사 배경 및 목적
2. 조사 지역 및 방법
3. 조사 결과
4. 결론 및 요약
교동도의 마을 유래와 특징 / 한기출
1.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상룡리
2.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봉소리
3.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대룡리
3.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난정리
제4부 교동도의 생활문화와 현재성
교동도 주민 구술생애사 - 교동 600백년, 교동도의 생활문화-전웅섭(全雄燮, 1940년생), 황정자(黃貞子, 1940년생) / 이세기
1. 600백년전 교동에 입도한 온전 전씨
2. 어린 시절 구산, 무서웠던 뚱구지
3. 전쟁보다 더 무서웠던 마마와 홍역
4. “이티 흉년에 뭐 이꽈네”, 신축년 흉년
5. 피난민들에 의해 만들어진 대룡시장
6. 초등학교 때 전쟁에 대한 기억
7. 7시간 걸리던 인천 뱃길
8. 건답직파와 ‘물꽝’으로 농사짓던 시절
9. 곱샘이놀이, 후엉잽이, 아홉동과 교동떡
10. 할머니를 살린 교동 효자 이야기
11. 섬이면서도 농사가 자랑인 섬
12. 훼손된 문화재의 복원을 기대하며
교동도 기행 / 김현석
1. 갈매기가 사라진 포구
2. 화개사 소나무에 걸린 석양
3. 세 개의 섬, 두 개의 저수지
4. 철조망과 포구
5. 지석리 할머니
교동도의 역사유적 / 김현석
1. 경원전慶源殿터
2. 갈공사葛公寺터
3. 고읍성古邑城
4. 고읍 형옥刑獄터
5. 화개산 봉수대
6. 교동향교
7. 교동읍성
8. 연산군 적거지謫居址
9. 화개산성
10. 삼도수군통어영지
11. 부근당扶芹堂
12. 진망산 봉수대
13. 화개암華蓋庵터
14. 읍내리 비석군
15. 사신당使臣堂
16. 수정산 봉수대
17. 인사리 석불입상
교동도 좌담회 - 교동도의 현재를 말한다
1. 문화와 역사의 보고, 교동도
2. 방치된 문화 유물들
3. 연륙교로 인한 변화상
4. 분단이라는 민통선 접경이 미치는 교동도
5. ‘문화교동’이라는 미래 가치와 활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