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교동도
  • 대출인기

    교동도

    발행연도 - 2015 / 최중기 외 지음 / 민속원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9699
    • ISBN 9788928507221
    • 형태 312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문화/문화사 > 한국문화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인천섬 연구총서 1권. 교동도는 강화도에서 불과 4~5km 떨어진 우리나라에서 14번째로 큰 섬이다. 그러나 남, 북 분단으로 1955년부터 민통선 북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그 지정학적 중요성이나 역사적 의미, 해양학적 중요성을 상실한 채 잊혀진 섬으로 오랫동안 외면받아 왔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제1부 교동도의 역사적 의미
교동도喬桐島에 대한 소개 / 최중기
1. 일반현황
2. 해안지형의 특성
3. 교동도 포구와 항로
4. 교동문화 보존 위원회 한기출 위원장과의 대담
5. 교동도의 유적과 관리상태
6. 교동도 방문 후기
교동도의 역사적 특성 / 이영호
1. 머리말
2. 교동도의 지리와 연혁
3. 교동도의 정치․군사적 기능
4. 교동도 사회의 형성과 근대적 전환
5. 맺음말
교동도 갯벌매립의 역사 / 배성수
1. 교동도의 지리적 환경
2. 간척의 배경
3. 고려시대, 간척이 시작되다
4. 간척기술의 발달과 간척지의 확장
5. 일제강점기 대규모 농장의 개발
6. 간척지의 안정적이고 집약적인 활용
교동도 근대역사: 한국전쟁과 전쟁이 남긴 것 / 김귀옥
1. 머리말
2. 열린 섬에서 닫힌 섬으로: 한국전쟁에 의해서 바뀐 교동도
3. 한국전쟁과 슬픈 섬, 교동도
4. 한국전쟁 이후의 교동도 사회의 변화
5. 맺음말

제2부 교동도의 문학과 종교
교동도의 누정시 / 이영태
1. 누정의 개념과 전개
2. 교동도 누정의 현황과 누정시
3. 결론
교동도의 개신교 전파와 수용 / 최인숙
1. 교동도와 감리교 12교회
2. 감리교의 교동도 전파 과정
3. 교동도에서의 감리교 전파
4. 교동도에서의 감리교 수용
5. 교동읍교회의 상룡리 이전
박두성, 세상의 빛이 된 사람 / 구본선
1. 박두성이 태어난 곳, 교동도
2. 박두성, 기독교로 개종하다
3. 박두성은 어디에서 공부를 했을까?
4. 이동휘와 만남, 보창학교 입학
5. 보통학교 교사 박두성(1906년~1913년)
6. 제생원 맹아부 교사 박두성이 훈맹정음을 반포하다
7. 육화사, 점자 통신교육을 실시하다
8.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인가? 맹인들을 위한 점자 성경을 만들자

제3부 교동도의 해양, 식물, 조류, 지리
교동도 주변 하구의 해양학적 특성 / 최중기
1. 서론
2. 교동도 주변의 해양특성
3. 교동도 주변 해역 생태환경과 생물상
4. 교동도 주변의 어업
5. 교동도의 포구
6. 강화조력발전
7. 결론
교동도의 조류 / 김대환
1. 교동도의 자연, 지리적 환경
2. 교동도의 조류-현지 조사
3. 교동도의 조류-문헌 조사
4. 고찰
교동도의 식생 / 송홍선
1. 서언-조사 배경 및 목적
2. 조사 지역 및 방법
3. 조사 결과
4. 결론 및 요약
교동도의 마을 유래와 특징 / 한기출
1.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상룡리
2.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봉소리
3.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대룡리
3. 교동도 마을별 유래와 특징-난정리

제4부 교동도의 생활문화와 현재성
교동도 주민 구술생애사 - 교동 600백년, 교동도의 생활문화-전웅섭(全雄燮, 1940년생), 황정자(黃貞子, 1940년생) / 이세기
1. 600백년전 교동에 입도한 온전 전씨
2. 어린 시절 구산, 무서웠던 뚱구지
3. 전쟁보다 더 무서웠던 마마와 홍역
4. “이티 흉년에 뭐 이꽈네”, 신축년 흉년
5. 피난민들에 의해 만들어진 대룡시장
6. 초등학교 때 전쟁에 대한 기억
7. 7시간 걸리던 인천 뱃길
8. 건답직파와 ‘물꽝’으로 농사짓던 시절
9. 곱샘이놀이, 후엉잽이, 아홉동과 교동떡
10. 할머니를 살린 교동 효자 이야기
11. 섬이면서도 농사가 자랑인 섬
12. 훼손된 문화재의 복원을 기대하며
교동도 기행 / 김현석
1. 갈매기가 사라진 포구
2. 화개사 소나무에 걸린 석양
3. 세 개의 섬, 두 개의 저수지
4. 철조망과 포구
5. 지석리 할머니
교동도의 역사유적 / 김현석
1. 경원전慶源殿터
2. 갈공사葛公寺터
3. 고읍성古邑城
4. 고읍 형옥刑獄터
5. 화개산 봉수대
6. 교동향교
7. 교동읍성
8. 연산군 적거지謫居址
9. 화개산성
10. 삼도수군통어영지
11. 부근당扶芹堂
12. 진망산 봉수대
13. 화개암華蓋庵터
14. 읍내리 비석군
15. 사신당使臣堂
16. 수정산 봉수대
17. 인사리 석불입상
교동도 좌담회 - 교동도의 현재를 말한다
1. 문화와 역사의 보고, 교동도
2. 방치된 문화 유물들
3. 연륙교로 인한 변화상
4. 분단이라는 민통선 접경이 미치는 교동도
5. ‘문화교동’이라는 미래 가치와 활로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발달지체 영유아 조기개입. 8, 대근육운동편 발달지체 영유아 조기개입. 8, 대근육운동편 2019 / 임경옥 저 / 학지사
다문화가정의 교육전략은 따로 있다: 초등교육에서 대학입시 전략까지 다문화가정의 교육전략은 따로 있다: 초등교육에서 대학입시 전략까지 2020 / 김만호 지음 / 마음서재
(해결을 넘어 성장으로) 얘들아, 마실 가자!  :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이겨내는 학교폭력 (해결을 넘어 성장으로) 얘들아, 마실 가자! :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이겨내는 학교폭력 2016 / 김강묵 ; 정희정 ; 박한숙 ; 김윤기 ; 김수정 ; 이준원 ; 강은정 공저 / 글로벌콘텐츠
한 아이. 1 한 아이. 1 2020 / 토리 헤이든 지음; 이수정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한국 민속학의 기억과 기록 한국 민속학의 기억과 기록 2013 / 심우성 지음 / 민속원
우리문화 박물지 우리문화 박물지 2022 / 이어령 지음 / 디자인하우스
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 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 2014 / 정수현 ; 정경조 지음 / 삼인
교동도 교동도 2015 / 최중기 외 지음 / 민속원
명화로 보는 남자의 패션 명화로 보는 남자의 패션 2015 / 나카노 교코 지음 ; 이연식 옮김 / 북스코프
신발, 스타일의 문화사 : 샌들, 부츠, 하이힐, 스니커즈에 담긴 시대정신과 욕망 신발, 스타일의 문화사 : 샌들, 부츠, 하이힐, 스니커즈에 담긴 시대정신과 욕망 2021 / 엘리자베스 세멀핵 지음 ; 황희경 옮김 / 아날로그 :
먹고 마시는 것들의 자연사 : 맛, 요리, 음식, 사피엔스, 그리고 진화 먹고 마시는 것들의 자연사 : 맛, 요리, 음식, 사피엔스, 그리고 진화 2019 / 지음: 조너선 실버타운 ; 옮김: 노승영 / 서해문집
냉장고 인류 = THE REFRIGERATED HUMANITY : 차가움의 연대기 냉장고 인류 = THE REFRIGERATED HUMANITY : 차가움의 연대기 2021 / 심효윤 지음 / 글항아리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 식사 방식으로 본 한국 음식문화사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 식사 방식으로 본 한국 음식문화사 2018 / 지은이: 주영하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
지리 레시피 지리 레시피 2016 / 강재호 지음 / 황금비율
요리책 쓰는 선비 술 빚는 사대부  : 500년 전통 명문가의 집밥·집술 이야기 요리책 쓰는 선비 술 빚는 사대부 : 500년 전통 명문가의 집밥·집술 이야기 2016 / 글·사진: 김봉규 / 담앤북스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그 해, 몽골 : 별, 사막, 호수 찾아 고비사막과 홉스골로 떠난 두 번의 몽골 여행 그 해, 몽골 : 별, 사막, 호수 찾아 고비사막과 홉스골로 떠난 두 번의 몽골 여행 2023 / 지음: 신미영 / 푸른향기
독을 품은 식물이야기 독을 품은 식물이야기 2014 / 김원학 ; 임경수 ; 손창환 [공]저 / 문학동네
요리를 욕망하다 : 요리의 사회문화사 요리를 욕망하다 : 요리의 사회문화사 2014 / 마이클 폴란 지음 ; 김현정 옮김 / 에코리브르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 도깨비 없이 태어난 세대를 위하여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 도깨비 없이 태어난 세대를 위하여 2018 / 지음: 주강현 / 서해문집
음식과 사회 : 사회학적으로 먹기 음식과 사회 : 사회학적으로 먹기 2020 / 지음: 김철규 / 세창출판사
(문재인의) 운명  : 특별판 (문재인의) 운명 : 특별판 2017 / 지은이: 문재인 / Bookpal(북팔)
인천테마여행 : 바다, 섬, 도시의 낭만 인천테마여행 : 바다, 섬, 도시의 낭만 2009 / 한국여행작가협회 지음 / 열번째행성
순대실록 : 맛있는 기행을 떠나다 순대실록 : 맛있는 기행을 떠나다 2017 / 육경희 지음 / BR미디어
백 개의 아시아. 2 백 개의 아시아. 2 2014 / 지은이: 김남일 ; 방현석 / 아시아
채소의 인문학  : 나물민족이 이어온 삶 속의 채소, 역사 속의 채소 채소의 인문학 : 나물민족이 이어온 삶 속의 채소, 역사 속의 채소 2017 / 지음: 정혜경 / 따비
골프 상식사전  : 골프 상식에서 규칙, 매너, 레슨 이론은 물론 골프 심리, 마인드 컨트롤까지 한 번에! 골프 상식사전 : 골프 상식에서 규칙, 매너, 레슨 이론은 물론 골프 심리, 마인드 컨트롤까지 한 번에! 2018 / 지음: 김기태 / 길벗
이순신, 신은 이미 준비를 마치었나이다 이순신, 신은 이미 준비를 마치었나이다 2019 / 지음: 김종대 / 시루
Mother and child: ever ancient, ever new Mother and child: ever ancient, ever new 2018 / Christine Granger / Paraclete Press
잠 못 이루는 밤을 위하여/행복론 잠 못 이루는 밤을 위하여/행복론 2021 / 지음: 카를 힐티; 옮김: 곽복록 / 동서문화사
(동서독 통합 20주년) 독일통일 바로알기 (동서독 통합 20주년) 독일통일 바로알기 2010 /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 지음 / 평화문제연구소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우리도 몰랐던)우리 문화 : 우리와 우리 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 (우리도 몰랐던)우리 문화 : 우리와 우리 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 2014 / 강준만 외 지음 / 인물과사상사
한국 민속학의 기억과 기록 한국 민속학의 기억과 기록 2013 / 지은이: 심우성 / 민속원
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 : 시, 음악, 그림, 풍속으로 보는 한국 전통문화 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 : 시, 음악, 그림, 풍속으로 보는 한국 전통문화 2017 / 김영조 지음 / 인물과사상사
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 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 2014 / 정수현 ; 정경조 지음 / 삼인
(세계로 나갈 때 꼭 챙겨야 할)한국 문화 오리엔테이션. [2], 생활문화 종교문화 세부 줄거리 편 (세계로 나갈 때 꼭 챙겨야 할)한국 문화 오리엔테이션. [2], 생활문화 종교문화 세부 줄거리 편 2014 / 최준식 지음 / 소나무
안동문화로 보는 한국학 안동문화로 보는 한국학 2016 / 배영동 외 지음 / 알렙
종가의 삶에는 지혜가 있다 종가의 삶에는 지혜가 있다 2012 / 이연자 지음 / RHK
구한말 운동회 풍경 : 국내 최초 운동회 역사서 구한말 운동회 풍경 : 국내 최초 운동회 역사서 2016 / 지음: 박상석 / 한국학술정보
서해와 연평도 서해와 연평도 2011 / 지은이: 나승만 ; 김준 ; 이경업 ; 박종오 ; 이윤선 ; 홍순일 ; 고광민 ; 조경만 / 민속원
호남의 문화예술과 민속 호남의 문화예술과 민속 2015 / 나경수 지음 / 민속원
이젠 없는 것들. 2 , 신나던 시절, 애달픈 정경들 이젠 없는 것들. 2 , 신나던 시절, 애달픈 정경들 2013 / 김열규 지음 / 문학과지성사
우리 문화 그 가슴에 담긴 말 우리 문화 그 가슴에 담긴 말 2015 / 장진호 지음 / 글누림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 세계인이 이렇게 묻는다면, 당신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 세계인이 이렇게 묻는다면, 당신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 2010 / 최준식 ; 윤지원 ; 이춘자 ; 허채옥 ; 이강민 ; 김윤정 ; 송혜나 ; 최준 ; 양세욱 함께 씀 / 소나무
조선 풍속사. 1, 조선 사람들, 단원의 그림이 되다 조선 풍속사. 1, 조선 사람들, 단원의 그림이 되다 2010 / 강명관 글 / 푸른역사
조선 풍속사. 2, 풍속으로 남다 조선 풍속사. 2, 풍속으로 남다 2010 / 강명관 글 / 푸른역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2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1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