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윤충로의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 파월장병, 파월기술자, 대학생 위문단, 전쟁 당시 한국군에게 피해를 입은 베트남인 등 전쟁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다양한 주체.집단의 목소리가 담겨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베트남전쟁을 만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프롤로그: 베트남전쟁 참전자의 삶의 맥락과 생애사적 시간
1장 총론: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를 위하여
1. 참전의 정치·경제와 전쟁에서의 정체성
2장 자유와 반공의 이름으로: 전쟁 동원을 위한 역사·사회적 배경과 참전 과정
전쟁으로 가는 길
전쟁 동원을 위한 역사ㆍ사회적 배경
박정희 정권과 베트남 파병
들리지 않는 목소리, 파병반대론
포연(砲煙)의 끝에서 다시 포연 속으로
3장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를 향한 열망 사이에서
한ㆍ미ㆍ월 관계에서 한국의 정체성 찾기
개념의 모색과 분석틀
인종 문제와 베트남인의 정형화
반공주의를 통한 전쟁의 정당화
근대화의 추구와 식민주의적 열망
아류오리엔탈리즘의 분열된 정체성과 욕망을 넘어서
2. 전쟁 동원과 일상의 전장화
4장 ‘파월병사’의 전쟁: ‘월남’으로의 여정과 전장의 경험
파월 병사의 전쟁 경험과 기억의 재현
연구 방법과 내용
파월 ‘병사 만들기’와 파월 ‘병가 되기’
전장에서의 경험과 기억
파월 병사의 전쟁 이야기와 아래로부터의 전쟁 연구의 열린 가능성
5장 후방의 전쟁 동원과 일상
냉전과 열전, 근대화, 그리고 일상
연구의 접근 방향과 내용
전쟁 동원기제의 형성
사회적 동원과 전장ㆍ일상의 접합
전쟁 동원의 효과와 한계
‘이중의 무임승차’를 통한 전쟁과 전쟁의 기억
3. ‘군번 없는 군인’, 전장의 파월派越 기술자
6장 빈넬Vinnell 파월기술자의 전쟁 경험과 생활세계의 변화
베트남전쟁의 또 다른 주역, 파월기술자
연구 방법과 사례의 특성
베트남에 간 기술자들
전장의 노동 경험과 생활
인종ㆍ민족적 분리와 노동 통제
전쟁의 영향과 전쟁에 대한 해석
성장ㆍ발전주의 전쟁에 대한 국가와 개인의 기억
7장 ‘월남재벌’ 한진의 형성과 파월기술자의 저항
열전 뒤의 경제전선
연구 사례의 특성과 연구 방법
한진상사의 베트남 진출과 활동
파월기술자들의 노동 경험과 생활
파월기술자의 미불임금투쟁과 ‘칼빙딩 방화사건’
파월 경제특수의 끝을 알렸던 칼빌딩 방화사건
4.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정치
8장 전후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동원
참전군인, 그 보수의 형성
연구 방법론과 자료
전쟁이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이데올로기 지형에 미친 영향
전쟁의 기억과 전후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 과정
참전군인의 동원과 아래로부터의 지배이데올로기 재생산
참전군인의 정체성과 한국의 냉전지도
9장 전쟁 기념과 기억의 정치
베트남전쟁, 그 상쟁(相爭)하는 기억들
연구 대상과 분석틀
정형화된 기억의 균열과 기억투쟁, 그리고 새로운 기억 만들기: 한ㆍ베평화공원
반성 없는 ‘화해’와 봉인된 기억: 하미마을 위령비
관 주도의 전쟁 기억과 기억의 상업화: 베트남참전용사만남의장
전후 책임, 고통의 연대와 미래
10장 결어: 우리에게 베트남전쟁은 무엇인가?
베트남전쟁 이후의 베트남전쟁
연구 주제의 확장과 새로운 모색
한국의 베트남전쟁 참전, 그 ‘오래된 현재’와 ‘기억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