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제1장 서론
1. 왜 이 책을 썼는가
2. 전통 및 근대와 ‘근대 태국’의 개념
3. 태국 국왕들의 명칭과 외국어 용어의 한글 표기방식
제2장 라따나꼬신 왕조의 수립과 전통 태국 사회
1. 아유타야 왕조의 멸망과 톤부리 왕조 시대
2. 라마 1세 시대: 라따나꼬신 왕조의 토대 구축
3. 라마 2세: 재개된 서양과의 관계
4. 라마 3세 시대: 전통과 근대의 과도기
제3장 라마 4세 시대: 태국의 문호 개방과 근대화의 시작
1. 보링조약의 체결과 태국의 문호 개방
2. 영국 및 프랑스의 위협
3. 개혁과 근대화의 시작
제4장 라마 5세 시대: 근대화와 개혁에 대한 태국 내부의 요구
1. 쭐라롱꼰의 등위와 추앙 분낙의 섭정 통치
2. 왕권 강화를 위한 노력과 초기의 개혁
3. 1874년 말~1875년 초 전궁(前宮) 사건
4. 근대화 개혁의 기반 구축을 위한 노력
5. 1885년 개혁 건의문
6. 민중의 근대화 요구
7. 라마 5세 및 태국 엘리트의 국가 근대화 인식
8. 1880년대 중엽 이후 근대화 개혁
9. 라마 5세의 ‘시윌라이’인식과 근대적 역사관
10. 19세기 중엽~20세기 초 식민주의 시기 태국 역사의 평가
제5장 라마 6세 시대: 타이 민족주의의 형성
1. 와치라웃의 등위와 스아빠의 창설
2. 라마 6세의 국가 정체성 인식과 타이 민족주의
3. 1912년 국가 전복 음모
4. 근대화 개혁과 문명국으로의 진입을 위한 노력
5. 라마 6세의 의회주의 인식과 재위 말년의 국정 운영방식
제6장 라마 7세 시대: 입헌군주제 태국의 성립
1. 쁘라차티뽁의 등위와 그의 국정 운영 스타일
2. 대의제 개혁을 위한 관심과 논의
3. 1932년 혁명과 입헌군주제 태국의 성립
제7장 결론
부록1 보링조약
부록2 공역(公役)에 대한 요구: 프라이 루앙 문제에 대해 몽꿋 왕이 1857년 고위 관료들에게 보낸 견해
부록3 노예 및 평민 자식의 속량 연령 확정에 관한 법령
부록4 쭐라롱꼰 왕의 왓 프라깨오 보수 공적기념 비문
부록5 1885년에 왕자들과 관료들이 쭐라롱꼰 왕에게 상신한 정부 형태의 개혁에 대한 건의문
부록6 정부 형태의 개혁을 원하는 자들의 견해에 대한 쭐라롱꼰 왕의 1995년 답변
부록7 1905년 징병법 전문(前文)
부록8 근대 태국의 형성 연표
참고문헌
그림 출처
미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