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작가 연구와 문학 교육
제1부 작가교육론
박태원
01 박태원 소설과 문학교육
1. 작가 박태원을 바라보는 시각
2.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서사 전략과 교육적 함의
3. 교육과정별 작품 수록 양상과 특징
4. 박태원 소설의 문학 교육적 의미
김정한
02 김정한 소설과 문학 교육
1. 교사 김정한과 작가 김정한
2. 김정한 소설과 학교 문학 교육
3. 문학논술 텍스트로서의 김정한 소설
4. 김정한 소설의 문학 교육적 의미
김승옥
03 김승옥 소설과 문학 교육
1. 김승옥 소설의 본질
2. 문학 교과서 속의 김승옥 소설
3. 국어과 평가와 김승옥 소설
4. 김승옥 소설의 문학 교육적 의미
최시한
04 최시한 소설과 문학 교육
1. 소설 읽기와 내면화 교육
2. 최시한 소설의 교과서 수록 현황
3. 연작소설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의 서술 방식
4. 왜냐선생의 수업을 원용한 「허생전」내면화 수업 모형
5. 최시한 소설의 문학 교육적 의미
제2부 한국 현대작가론
이동규
05 사실주의 작가 이동규의 문학 세계
1. 철아 이동규의 전기적 생애
2. 식민지 시기의 작품 세계
3. 해방 직후의 작품 세계
4. 이동규 문학의 재조명을 위하여
유항림
06 단층파 모더니스트 유항림의 문학적 도정
1. 유항림 소설과 연구사의 반성
2. 초기 소설의 모더니즘의 성격
3. 해방 후의 문학적 변모와 새로운 인간상의 모색
4. 모더니스트와 리얼리스트의 간극
황석영
07 황석영 문학과 대화의 종교
1. 황석영 문학의 종교성
2. 분쟁의 종교, 화평의 종교 - 『손님』
3. 죽음을 넘어서는 화해의 문학 혹은 신학 - 『바리데기』
4. 작가는 영매다
박범신
08 문학공간으로서의 블로그와 인터넷 시대의 소설 읽기
1. 블로그에서 작가를 만나다
2. 블로그의 공간적 특성과 블로그소설의 등장
3. 박범신의 블로그소설 <촐라체>
4. 블로그소설의 과제
김훈
09 다문화 시대 우리 소설의 역사 읽기
1. 역사소설의 팩션화
2. 다문화주의 담론과 역사 인식
3. 병자호란의 문학적 형상화
4. 김훈의 『남한산성』작품 분석
5. 『남한산성』의 다문화주의적 의미
백도기
10 기독교소설 교육과 독자 중심적 읽기 전략
1. 기독교문학 교육의 목표와 방법
2. 학습자 위주의 기독교문학 강의 설계
3. 백도기의 「달구질 소리」수업 사례 분석
4. 끝나지 않는 수업을 위하여
박남철
11 박남철 초기시의 기독교와 반기독교
1. 박남철은 기독교 시인인가
2. 박남철 시의 대화방식
3. 『地上의 人間』의 기독교적/반기독교적 시세계
4. 신의 침묵 시대의 기도 - 「주기도문」패러디
5. '지금 여기'에서의 새로운 싸움
멀티미디어시대의 작가
12 멀티미디어 시대의 작가
1. 다시 작가란 무엇인가
2. 인터넷문학과 작가의 탄생
3. 작가와 독자의 만남
4. 황석영의 블로그소설 <개밥바라기별>
5. 문학공간으로서의 인터넷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