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발행연도 - 2014 / 김지홍 지음 / 경진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47064
-
ISBN
9788959964253
-
형태
577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한국어
>
방언
-
카테고리분류
인문
>
기호/논리/언어학
>
국어학
책소개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총서 12권. 제주 방언은 다른 방언들의 현저한 간섭이 없이 상당한 정도로 독자적인 모습으로 계속 존재해 왔다. 그런 만큼 이 방언을 움직이는 문법적 실체들에 대하여 체계적인 질서를 드러내기에 안성맞춤이다.
목차
머릿글 제주 방언을 다시 만지작거리면서
제1부 들머리
제2부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부류
제1장 조사 부류
제1절 이른바 구조적으로 주어지는 격조사
제2절 어휘 의미로 부가되는 격조사(부사격)
제3절 다른 동기로 도입되는 조사
제4절 뜻을 더해 주는 보조사
제5절 화용 첨사 또는 화용 보조사
제2장 용언의 활용어미: 서술 서법의 경우
제1절 용언의 활용 어미 부류
제2절 서술 서법의 종결 어미
제3절 둘 이상의 형태가 융합된 서술 서법의 종결 어미
제4절 관형형 어미가 관찰되는 종결 어미
제5절 관형형 어미와 형식 명사 ‘터, 상/모양’, ‘거/것, 이’로 구성된 종결 어미
제6절 다른 구문으로부터 전성된 종결 어미
제7절 기원을 명확히 밝힐 수 없는 종결 어미
제8절 서술 서법의 종결 어미들에 대한 목록
제3장 의문 서법의 종결 어미
제1절 대우 표현 방식에 따라 구별되는 의문 종결 어미
제2절 평대 관계의 고유한 의문 종결 어미
제3절 여러 서법에 두루 쓰이는 반말투 종결 어미: 의문으로 쓰인 경우
제4절 둘 이상의 형태가 융합된 의문 종결 어미
제5절 관형형 어미가 관찰되는 의문 종결 어미
제6절 관형형 어미와 형식 명사 ‘거/것’ 및 ‘이’로 구성된 의문 종결 어미
제7절 기원을 명확히 밝힐 수 없는 의문 종결 어미
제8절 의문 서법의 종결 어미 목록
제4장 감탄ㆍ서술 서법, 그리고 그 외의 경우
제1절 감탄 서법의 종결 어미
제2절 서술ㆍ감탄 서법에 공유되어 쓰이는 단일 형식의 종결 어미
제3절 융합된 형식의 감탄ㆍ서술 서법의 종결 어미
제4절 기원을 알 수 없는 감탄ㆍ서술 서법의 종결 어미
제5절 행동을 요구하는 종결 어미
제5장 관형사 및 부사 부류
제1절 관형사
제2절 부사
제3부 마무리
부록
제주 방언 통사 연구에서의 현황과 과제
제주 방언의 표기에서 ‘띄어쓰기’ 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어미 형태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