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개요
1.1 품질관리의 역사
1.2 통계적 품질관리의 개요
1.3 품질비용
제2장 데이터의 정리방법
2.1 데이터 형태와 측정
2.2 품질관리 기본 7가지 도구
2.3 신 품질관리 7가지 도구
제3장 샘플링 방법
3.1 모집단과 샘플
3.2 샘플링 방법의 종류
3.3 샘플링오차, 측정오차 및 축분오차
제4장 샘플링 검사법
4.1 검사의 개요
4.2 샘플링검사의 확률이론
4.3 샘플링검사의 분류
제5장 계수형 샘플링검사
5.1 계수 규준형 1회 샘플링검사: KS Q 0001
5.2 출검품질 통제를 위한 신용도 원리에 근거한 합격판정개수 0 샘플링검사: KS Q ISO 18414
5.3 로트별 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KS Q ISO 2859-1
5.4 고립로트 LQ 지표형 샘플링검사: KS Q ISO 2859-2
5.5 스킵로트 샘플링검사: KS Q ISO 2859-3
5.6 선언품질수준의 평가 절차: KS Q ISO 2859-4*
5.7 로트별 AQL 지표형 축차 샘플링검사: KS Q ISO 2859-5
5.8 계수 규준형 축차 샘플링검사: KS Q ISO 8422*
5.9 제품합격판정용 합격판정개수 0 샘플링검사 시스템과 프로세스관리의 결합 절차: KS Q ISO 21247*
부표
제6장 계량형 샘플링검사
6.1 계량 규준형 1회 샘플링검사: KS Q 0001
6.2 단일 품질특성 및 단일 AQL에 대한 로트별 AQL 지표형 1회 샘플링검사: KS Q ISO 3951-1
6.3 독립 품질특성 로트별 AQL 지표형 1회 샘플링검사: KS Q ISO 3951-2
6.4 로트별 AQL 지표형 2회 샘플링검사: KS Q ISO 3951-3*
6.5 선언품질수준의 평가 절차: ISO 3951-4*
6.6 로트별 AQL 지표형 축차 샘플링검사(표준편차 기지) : KS Q ISO 3951-5
6.7 계량 규준형 축차 샘플링검사: KS Q ISO 8423*
6.8 제품합격판정용 합격판정개수 0 샘플링검사 시스템과 프로세스관리의 결합 절차: KS Q ISO 21247*
부표
제7장 관능검사
7.1 관능검사의 개요
7.2 관능검사의 방법*
제8장 관리도 개요
8.1 관리도의 개요: KS Q ISO 7870-1
8.2 관리도의 패턴 분석(해석 및 판정)
제9장 계량형 관리도
9.1 평균과 범위(X-R) 관리도와 표준편차((-s) 관리도
9.2 관리도에 대한 해석 및 관리 절차
9.3 개별치와 이동범위(X-Rm) 관리도
9.4 중위수와 범위(X-R) 관리도
제10장 계수형 관리도
10.1 부적합품률/불량률(p) 관리도
10.2 부적합품수/불량개수(np) 관리도
10.3 부적합수(c) 관리도
10.4 단위당 부적합수(u) 관리도
제11장 특수 관리도*
11.1 합격판정관리도
11.2 누적합 관리도
11.3 이동평균 관리도
11.4 지수가중 이동평균 관리도
11.5 Z-W관리도(표준 정규분포 관리도)
11.6 X-R 관리도(부분군 차이관리도)
11.7 Z-W 관리도(부분군 표준 정규분포 관리도)
제12장 공정능력분석 및 공정개선
12.1 개요
12.2 공정능력의 정량화
12.3 허용차 설계*
12.4 공정개선활동 추진법*
제13장 측정시스템 분석*
13.1 측정시스템의 기본개념
13.2 계량형 측정시스템 분석
13.3 계수형 측정시스템 분석
13.4 불확도의 개념과 활용
부록 : 통계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