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1960년을 묻다> <대중지성의 시대> <자살론> <근대의 책 읽기> 등으로 한국 근현대 문학사와 문화사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평을 받은 천정환 교수가, 1945년부터 지금까지 한국 현대 문화사를 잡지를 통해 바라보는 책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을 엮으며 잡지 창간 정신과 창간사의 문화

1945~1949년 해방과 잡지 “굶주린 독자여 맘껏 배불리 잡수시오”
연속과 불연속, 우리 문화사의 아르케
가난과 균열
중립 또는 중도 영역의 형성
분단 이후의 지식인
잡지 문화의 다른 새 출발
1945~1949년 잡지 창간사

1950년대 부활과 재출발 “공기로서 자유, 평등, 번영의 민주 사회 건설에 미력을 바치고자 하는 바”
재건과 동시대 세계에의 참여
<사상계>의 한 세상과 냉전 질서의 안착
‘현대’ 그리고 '문학'ㅡ50년대식 문학잡지
새로운 독자층의 성장과 대중지
1950년대 잡지 창간사

1960년대 지성과 대중문화의 새로운 공간 “새 세대의 역사적 사명과 자각”
혁명과 지성의 새로운 공간
문학적 지성의 다른 경계들
대중의 형성과 욕망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잡지
예술·과학과 근대화
1960년대 잡지 창간사

1970년대 개발독재 시대의 잡지 문화 “이 나라의 자연과 생태와 대중문화를 가까이 살피려”
유신과 잡지ㅡ<샘터>와 <뿌리깊은 나무>
잡지 읽기와 대중문화의 확장ㅡTV, POP, SPORTS
문학의 시대
고도성장과 잡지 문화
1970년대 잡지 창간사

1980년대 운동으로서의 잡지, 저항으로서의 독서 “사상의 대중화를 위하여”
‘흑역사’와 반전
땅속의 말
80년대적인 것과 문학
학술 운동과 사회과학 잡지의 시대
경제성장의 과실과 중산층의 새로운 삶
1980년대 잡지 창간사

1990년대 문자문화의 마지막 전성과 ‘역사의 종언’ “함께 꿈꾸세. 동상이몽이라도 좋으니. 그러면 세상은 달라질 거야”
응답하라… 응답하라… 1990’s
해방의 새로운 지평ㅡ적녹보
대중/문화의 새 시대
90년대 후반의 고민
1990년대 문학과 새로운 문학 공간
1990년대 잡지 창간사

2000년대 잡지 문화의 현재와 미래 “세상을 바꾸는 시간이 더디고 더디게 올지라도”
인터넷 시대와 종이 잡지의 종막?
잡지 문화와 새로운 지식사회 1ㅡ언론 개혁과 보혁 이데올로기 전선
잡지 문화와 새로운 지식사회 2ㅡ논문 쓰기와 ‘지식인의 죽음’
‘잔여적인 것’의 존재 가치와 미래의 징후들
글로컬·혼종성·아시아
에필로그를 대신해서ㅡ잡지와 ‘잡지스러운 것’의 미래 운명
2000년대 잡지 창간사

감사의 말

주요 잡지 창간 연표(1945~2014)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 박정희 시대 한국문학과 저항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 박정희 시대 한국문학과 저항 2023 / 지음: 유영주; 옮김: 이형진, 정기인 / 소명출판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연구 : 가족·신체·민족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연구 : 가족·신체·민족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2012 / 윤송아 著 / 인문사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연구 : 가족·신체·민족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연구 : 가족·신체·민족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2012 / 윤송아 著 / 인문사
피천득 다시 읽기 : 금아의 삶과 문학 이야기 피천득 다시 읽기 : 금아의 삶과 문학 이야기 2019 / 지음: 정정호 / 범우사
피천득 문학세계 피천득 문학세계 2021 / 지음: 정정호 / 범우사
장전된 시간  : 한국문학과 정치  장전된 시간 : 한국문학과 정치 2024 / 지음: 조연정 / 소명
법정에 선 문학  : 한국 현대문학 7건의 필화 사건 법정에 선 문학 : 한국 현대문학 7건의 필화 사건 2016 / 지음: 채형복 / 한티재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 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 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 2014 / 천정환 지음 / 마음산책
소수자의 옹호  : 실제비평 1981~97  : 최원식 평론집 소수자의 옹호 : 실제비평 1981~97 : 최원식 평론집 2014 / 지은이: 최원식 / 자음과 모음
격리―낙인―추방의 문화사 = The cultural history of isolation-stigma-expel :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 The vision》과 한국문학 격리―낙인―추방의 문화사 = The cultural history of isolation-stigma-expel :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 The vision》과 한국문학 2022 / 지음: 한순미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이어령, 우리 시대 비평의 이정표 이어령, 우리 시대 비평의 이정표 2023 / 지음: 홍래성 / 파람북
리얼리티 재장전 : 문학과 현실이 가리키는 새로운 미래 : 강경석 평론집 리얼리티 재장전 : 문학과 현실이 가리키는 새로운 미래 : 강경석 평론집 2022 / 지음: 강경석 / 창비
파토스의 그림자  : 강지희 평론집  파토스의 그림자 : 강지희 평론집 2022 / 지음: 강지희 / 문학동네
문학 이후의 문학 : 고봉준 문학평론집 문학 이후의 문학 : 고봉준 문학평론집 2020 / 지음: 고봉준 / b
입술에 묻은 이름 : 권혁웅 평론집 입술에 묻은 이름 : 권혁웅 평론집 2012 / 권혁웅 지음 / 문학동네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중지성의 시대  : 새로운 지식문화사를 위하여 대중지성의 시대 : 새로운 지식문화사를 위하여 2008 / 천정환 지음 / 푸른역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반계유고 반계유고 2017 / 지음: 유형원, 편엮: 임형택, 김지영, 손혜리, 안나미, 양승목, 유혜영, 윤세순, 이주영, 임영걸, 임영길, 정난영, 정용건, 하정원, 함영대 / 창비
고려를 읽다 : 역사와 삶의 고비마다 고려를 지키고 빛낸 문장들 고려를 읽다 : 역사와 삶의 고비마다 고려를 지키고 빛낸 문장들 2014 / 이혜순 지음 / 섬섬
오빠 이상, 누이 옥희 : 천재 작가 이상 사후의 가족비사 오빠 이상, 누이 옥희 : 천재 작가 이상 사후의 가족비사 2018 / 지음: 정철훈 / 푸른역사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미디어의 교통 : 1920~30년대 여성문학의 형성과 여성잡지의 젠더정치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미디어의 교통 : 1920~30년대 여성문학의 형성과 여성잡지의 젠더정치 2017 / 지음: 김경연 / 소명출판
생활인 이규보 생활인 이규보 2013 / 김용선 지음 / 일조각
이규보 연보 이규보 연보 2013 / 김용선 지음 / 일조각
18세기 한중 지식인의 문예공화국  : 하버드 옌칭도서관에서 만난 후지쓰카 컬렉션 18세기 한중 지식인의 문예공화국 : 하버드 옌칭도서관에서 만난 후지쓰카 컬렉션 2014 / 정민 지음 / 문학동네
한용운과 그의 시대 한용운과 그의 시대 2010 / 고재석 지음 / 역락
백성은 물, 임금은 배  : 300년 전, 백성 편에 선 목민관의 목소리 백성은 물, 임금은 배 : 300년 전, 백성 편에 선 목민관의 목소리 2012 / 이정옥 엮음 / 글누림출판사
한국 신화 새롭게 쓰기 한국 신화 새롭게 쓰기 2012 / 임금복 지음 / 모시는사람들
문화와 문학, 그 상징과 속살 : 문화재와 시로 떠나는 남도문화관광 문화와 문학, 그 상징과 속살 : 문화재와 시로 떠나는 남도문화관광 2012 / 최한선 지음 / 태학사
조선왕실의 팔경문학 조선왕실의 팔경문학 2017 / 지음: 안장리 / 세창출판사
풍화와 기억  : 일제 말 친일 협력 문학의 재해석 풍화와 기억 : 일제 말 친일 협력 문학의 재해석 2016 / 지은이: 김재용 / 소명출판
요동의 학이 되어 : 일제강점기 서간도 망명 우국지사 이건승 안효제 노상익 노상직 예대희 조정규와 안창제를 중심으로 요동의 학이 되어 : 일제강점기 서간도 망명 우국지사 이건승 안효제 노상익 노상직 예대희 조정규와 안창제를 중심으로 2016 / 지음: 이은영 / 학자원
홀로 서서 길게 통곡하니 : 소리 없는 통곡, 선비들의 눈물 홀로 서서 길게 통곡하니 : 소리 없는 통곡, 선비들의 눈물 2015 / 엮음: 신정일 / 루이앤휴잇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