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라시아의 체제전환과 국가건설 = State building in the Eurasian transition
발행연도 - 2012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연구사업단 엮음 ; 고상두 등 지음 / 한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15890
-
ISBN
9788946054417
-
형태
411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각국정치
책소개
본서의 발간 목적은 12개 유라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각국의 체제전환 이후 국가건설의 특성, 전개 과정, 전망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유라시아 국가들이 어떠한 국가건설 경로를 걸었고, 어떠한 국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총론 유라시아의 체제전환과 국가건설: 이론적 논의와 평가 지수
1. 서론
2. 국가의 개념 정의
3. 국가의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4. 유라시아 국가건설 과정의 경로요인
5. 유라시아 국가에 대한 평가 지수
6. 결론
제1부 러시아 및 동슬라브
제1장 체제전환 이후 러시아의 국가 지배력: 수준과 변화요인
1. 서론
2. 러시아의 국가 지배력
3. 러시아 국가건설의 분절적 경로
4. 결론
제2장 우크라이나의 국가성 모색
1. 서론
2. 국가성의 개념과 우크라이나의 역사적ㆍ문화적 연원
3. 헌정질서 구축과 국가안보 확립
4. 국민적 통합성 형성
5. 결론
제3장 벨라루스의 국가발전 양상: 정치제도화와 대외정책을 중심으로
1. 서론
2. 국가발전과 대통령 중심의 정치제도
3. 선거와 민주화 시위 양상
4. 국가발전과 실리주의 대외정책
5. 맺음말: 벨라루스식 국가발전의 총체적 양상
제4장 몰도바의 체제전환과 국가형성
1. 서론
2. 몰도바 체제전환의 배경과 여건
3. 몰도바의 국가형성 과정
4. 국가 능력의 평가
5. 결론
제2부 중앙아시아
제5장 카자흐스탄의 국가건설: 소비에트 국가에서 유라시아 신흥 중견국가로의 발전 과정을 중심으로
1. 서론
2. 현대 카자흐스탄 20년: 통치제도 및 사회제도의 변화
3. 카자흐스탄 국가통치 구조 및 제도의 변화
4. 카자흐스탄 국가발전과 인적자원 체계의 변화
5. 결론
제6장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성격
1. 서론
2. 국가성과 후견주의, 신세습주의
3. 국가 능력과 약한 국가, 실패 국가
4. 결론
제7장 키르기스스탄 국가형성 과정에서의 제도변화: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1. 서론
2. 잦은 헌법 개정과 튤립혁명의 좌절
3. 바키예프 정권의 교체 이후 정치적 경과
4. 의원내각제로의 전환 동인과 의미
5. 제한적 전망과 평가
제8장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건설
1. 서론
2. 투르크메니스탄 국가건설 평가: 약한 국가, 부분적 실패 국가
3. 니야조프 집권기: 권위주의 체제 성립과 공고화
4. 베르디무하메도프 집권기: 공고화된 권위주의 체제의 유지와 강화
5. 결론
제9장 타지키스탄의 국가건설 실패에 관한 다면적 분석: 내전과 ≪포린 폴리시≫의 실패 국가 지수를 중심으로
1. 서론
2. 타지키스탄 내전의 발생 원인과 과정 분석
3. 타지키스탄 내전 기간에 진행된 국가건설 과정
4. 종전 이후 진행된 국가건설 과정
5. 타지키스탄의 실패 국가 지수
6. 향후 타지키스탄의 국가건설 전망과 과제
7. 결론
제3부 캅카스
제10장 아제르바이잔의 국가건설과 정치적 정당성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검토: 국가건설과 정당성
3. 아제르바이잔 국가건설 과정의 특징
4. 아제르바이잔 국가 정당성 분석
5. 맺는 말
제11장 아르메니아의 이원집정부제: 비교적 시각
1. 신흥 민주주의 국가들의 권력구조
2. 유라시아 국가들의 권력구조
3. 헌정 구조와 민주주의
4. 헌정 구조와 내각 안정
5. 내각 안정과 정당체제
6. 아르메니아의 이원집정부제
제12장 조지아의 국가건설 과정: 민족주의에서 혁명적 국민주의로
1. 들어가는 말
2. 문제를 보는 시각: 국민주의와 제도화, 분쟁의 상관관계
3. 독립 조지아에서의 국민주의
4. 혁명적 국민주의와 분쟁
5. 맺는 말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