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총론
제1장 동아시아 거버넌스에 대한 문헌연구
1. 들어가면서
2. 거버넌스의 개념 논의
3. 한국 학계의 거버넌스 연구현황
4. 동아시아의 국내정치적 거버넌스
5.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거버넌스
6. 이론적 함의
◆ 참고문헌
제2부 동아시아 지역 거버넌스의 형성
제2장 동서양 거버넌스: 수렴과 분화
1. 문제제기
2. 거버넌스의 개념과 거버넌스체제 전환
3. 거버넌스 필요조건, 체제전환과 동서양
4. 결론: 거버넌스-수렴 속에서 분화
◆ 참고문헌
제3장 한국에서 민주주의 심화가 조정국가(Regulatory State)의 변화에 미친 영향
1. 서론
2. 민주주의의 심화 그리고 국가성격의 변화
3. 법적-제도적 민주주의에 입각한 조정국가의 등장과 실패
4. 참여민주주의에 입각한 조정국가의 등장
5. 결론: 새로운 형태의 조정국가?
◆ 참고문헌
제4장 동아시아 발전국가와 거버넌스: 정보화 시대 한국과 대만의 산업정책을 중심으로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변화
4. 결론
◆ 참고문헌
제5장 동아시아 기업 거버넌스 모델의 형성
1. 서론
2. 비교 기업 거버넌스 차원에서의 동아시아 기업 거버넌스의 모델
3. 동아시아 기업 거버넌스 모델의 주요 공통요소
4. 동아시아 기업 거버넌스 모델형성의 장애요인
5. 결어
◆ 참고문헌
제6장 동아시아 국가의 부패 문제와 거버넌스
1. 서론
2. 부패원인에 대한 이론
3. 부패문제에 대한 거버넌스적 접근의 필요성
4. 통계적 분석
5. 부패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6. 결론
◆ 참고문헌
제3부 동아시아 국가별 거버넌스
제7장 한국에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그 형성과정에서의 정부 역할을 중심으로
1. 서론
2. 전자정부(e-Government)의 수립
3. 새로운 거버넌스 양태의 등장
4.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로의 전이
5. 한국에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 형성 과정과 정부의 역할
6. 결론
◆ 참고문헌
제8장 한국의 시민사회와 민주적 거버넌스: 낙선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참여 민주주의와 국가-시민사회 거버넌스
3. 한국의 시민사회와 국가 간 관계
4. 낙선운동과 거버넌스
5. 결론
◆ 참고문헌
제9장 사적 행위자와 환경의 거버넌스: 중국과 인도의 비교연구
1. 서론
2. 중국과 인도: 기본적 비교
3. 중국의 환경 거버넌스: 경제 개방과 외자 기업의 역할
4. 인도의 환경 거버넌스: 시민사회의 역할
5. 결론
◆ 참고문헌
제10장 러시아의 환경거버넌스 형성 가능성과 한계: 환경NGO와 지방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1. 서론
2. 러시아 거버넌스의 이론적 모색 및 분석의 틀
3. 러시아 환경NGO와 지방정부의 속성 분류
4. 러시아 환경NGO와 지방정부의 관계 유형별 특징과 사례
5. 결론
◆ 참고문헌
제4부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이론과 실제
제11장 동아시아 인간안보와 글로벌 거버넌스
1. 서론
2. 인간안보의 이론적 논점
3. 인간안보에 대한 동아시아적 관점
4. 동아시아의 인간안보 문제
5. 동아시아 인간안보에 대한 글로벌 거버넌스
6. 결론
제12장 시민사회와 동아시아 거버넌스: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 모색을 위한 예비적 고찰
1. 들어가면서
2. 시민사회와 글로벌 거버넌스
3. 시민사회와 동아시아 거버넌스의 가능성
4. 한국 시민사회와 동아시어 거버넌스
5. 나가면서
◆ 참고문헌
제13장 북한 인권문제와 동아시아 인권 거버넌스: 국제 레짐이론을 중심으로
1. 서론
2. 국제인권 레짐의 이론적 고찰
3. 북한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4. 지역 인권 거버넌스를 위한 상황적 접근
5. 결론
◆ 참고문헌
제14장 동아시아 거버넌스와 NGO연대: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초국적연대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지역 거버넌스와 초국적연대
3. 일본군 '위안부' 이슈에 대한 동아시아 거버넌스: NGO의 초국적 옹호망 활동
4. 결론
◆ 참고문헌
제5부 안보의 지역협력
제15장 북핵문제의 국제제도론적 해석: 한국문제와 동북아 다자협력제도에의 함의
1. 서론
2. 국제제도의 유용성
3. 국제제도와 한국문제의 변화
4. 한국문제의 전환과 6자회담에 함의
5. 한국문제와 6자회담에서 바라본 동북아 다자안보제도의 가능성
6. 결론: 한국문제와 북핵을 넘어 국제제도로
◆ 참고문헌
제16장 21세기 반테러안보 거버넌스의 형성과 동아시아 안보구조
의 변화
1. 서론
2. 거버넌스, 글로벌 거버넌스, 글로벌 안보 거버넌스
3. 대테러 글로벌 거버넌스
4. 대테러 지역 거버넌스와 동아시아 안보질서
5. 결론
◆ 참고문헌
제6부 동아시아 거버넌스와 정보화
제17장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의 형성과 동아시아의 대응: WSIS와 ICANN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이론적 논의: 사이버공간의 세계화와 거버넌스
3.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의 등장과 그 성격
4. 동아시아의 대응과 그 성격
5. 결론
◆ 참고문헌
제18장 동아시아 정보산업의 거버넌스: 리눅스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공개 소프트웨어의 담론과 리눅스의 확산
3. 정보산업의 거버넌스와 리눅스의 지식생산모델
4. 리눅스와 동아시아 정보산업의 거버넌스
5. 맺음말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