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교양총서 세 번째 책. 우리에게 주어진 환경에서 행복을 어떻게 상상할 것인지, 무엇이 행복을 방해하는지, 행복의 구체적인 모습은 어떠한 것인지 더듬어보기 위한 하나의 시도라 할 수 있다.
목차
책머리에
1부 행복한 세계를 꿈꾸며
유토피아와 무위의 공동체 / 하용삼
1. 유토피아
2. 왜 우리는 공동체를 원하는가?
3. 원시공동체에서 삶
4. 국가에 대항하는 원시공동체
5. 무위의 공동체
동양의 이상사회, 대동의 세상 / 이명수
1. 행복한 지역에의 꿈
2. 자연주의 철학의 이상향
3. 현실적이며 이상적인 대동 사회
4. 경계를 넘는, 평등한 삶의 자리
5. 내 몸과 마음이 편안한 장소
공생의 조건과 지역의 현실 / 장세용
1. 지역이란 무엇인가?
2. 지역의 현실
3. 바람직한 지역공동체 구상을 위한 조건들
4. 변화의 선례
2부 고단한 여기에 서서
욕망의 공간, 아파트와 재개발 / 공윤경
1. 주거문화와 아파트
2. 아파트의 등장과 변화
3. 아파트의 의미
4. 아파트와 재개발
5. 공존과 공생을 위하여
사라지는 언어, 사라지는 지역 / 차윤정
1. 현실, 언어에 대한 단상
2. 표준어 그리고 사투리와 지역어
3. 표준어의 신화와 지역어의 소멸
4. 지역어와 문화
5. 언어권리와 지역어 소멸
랜드마크 만들기와 일상적 삶 / 이상봉
1. 랜드마크란 무엇인가?
2. 랜드마크와 지역 이미지
3. 일상이란 무엇인가?
4. 글로벌화와 일상적 공간의 의미
5. 랜드마크와 일상의 삶
3부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기 위하여
놀이, 쉽고도 어려운 탈주 / 조정민
1. 놀이하는 인간
2. 놀이의 문법
3. 놀이? 즐거움이 답이다
4. 혼자 놀기
5. 실험적 놀이
지역 살림살이와 사회적 경제 / 오미일
1. 글로벌 경제가 야기하는 문제들
2. 대안으로서 ‘경제의 지역화’
3. 사회적 경제의 대두와 그 특성
4. 사회적 경제의 다양한 실천
로컬푸드와 슬로푸드 / 엄은희
1. 먹거리 위기의 시대
2. 농업의 세계화와 식량체계의 변화
3. 로컬푸드의 등장
4. 슬로푸드
5. 로컬푸드와 슬로푸드에 기초한 지역 발전
6. 음식시민으로 거듭나는 길
생태적 관점과 공생 / 류지석
1. 생태주의와 생태적 관점
2. 공생과 생태도시
3. 도시재생과 생태적 공생
4.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노력